🏪2024년 12월 3일 화요일
#223 🌽콘.스.프 영양성분
이주의 기획 상품 #223
편의점 자주 가시나요?
익숙해도 너무 익숙한 집 주변의 편의점들. 이 일상적인 편의점이 백화점을 제치고 국내 유통업계에서 최고 매출을 올렸어요. 편의점이 6개월 이상 백화점의 매출을 넘긴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는데요. 과연 매출 1위를 차지한 편의점의 전략은 무엇이었을까요?
새로운 경험의 중심지🛝
최근 편의점은 단순한 쇼핑 공간을 넘어 문화와 트렌드가 어우러진 복합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어요. 다양하고 트렌디한 상품을 짧은 기간 내에 빠르게 출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한몫 하는데요. 넷플릭스 예능 ‘흑백요리사’가 큰 인기를 끌자 편의점들은 관련 상품을 출시하며 시청자들의 관심을 사로잡았어요. 10월에 출시된 CU의 ‘밤 티라미수’는 한 달여 만에 200만 개 넘게 팔렸다고 해요.
연말에는 겨울 한정 음료나 크리스마스 간식 같은 트렌디한 상품을 출시하며 시즌별로 즐길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올해의 경우 고물가 시대에 홈파티 트렌드가 이어질 것이라는 예상 아래 위스키, 와인, 케이크 등 먹거리 뿐 아니라 인테리어 소품까지 선보인다고 해요.
일부 편의점은 다양한 브랜드와 협업해 팝업 스토어 형식으로 운영되기도 합니다. GS25는 경쟁력을 위해 ‘특화 편의점’ 수를 늘리고 있는데요. 특화 편의점은 각 지역 성격에 맞게 콘셉트를 정하고 그 부분을 특화한 매장으로, 다양한 볼거리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MZ 세대의 ‘새로운 경험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어요.
편의점을 구독합니다🏪
편의점 업계는 MZ 세대의 소비 패턴에 맞춰 구독형 서비스를 적극 도입하고 있습니다. GS25와 CU의 구독 서비스는 월정액으로 인기 제품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경제성과 편리함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높은 호응을 얻고 있는데요. 특히 구독 서비스를 통해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반복 구매를 유도하려는 전략이 돋보여요.
정기적으로 제품을 배송받거나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구독 서비스는 MZ 세대의 소비 트렌드와 잘 맞아떨어집니다. 주목할 점은 편의점이 기존의 오프라인 중심지에서 벗어나 디지털과 연결된 경험을 제안하며,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한’ 유통 채널로 변모하고 있다는 점이에요. 이와 같은 변화는 단순히 물리적 매장에 국한되지 않고 디지털 네이티브인 MZ 세대가 중시하는 ‘접근성’과 ‘경험’을 결합하려는 편의점들의 전략으로 볼 수 있죠.
가성비와 시성비🍔
마지막으로, 편의점은 ‘가성비’와 ‘시성비’를 모두 잡으며 다양한 수요층을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가격이 비싸다는 인식이 컸지만 최근 가격 경쟁력을 강화하며 간단히 끼니를 해결하려는 소비자들에게 ‘가성비’ 좋은 선택지로 자리 잡았어요. 다양하고 질 높은 도시락은 외식물가가 상승한 상황에서 꽤 좋은 선택지가 되어주죠. 편리함과 시간 절약이라는 부가적인 장점도 큰 매력 포인트가 됩니다.
한편, 편의점은 상품의 질을 높여 ‘편리미엄’, 즉 ‘편리한 프리미엄’을 즐기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요구도 충족시키고 있는데요. 먼 지역에 직접 가거나 오랜 시간 웨이팅을 하지 않아도 편의점 상품을 통해 프리미엄 음식을 맛볼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거예요. 이로 인해 시간 대비 효율 ‘시성비’를 챙길 수 있죠. 예를 들어, GS25는 유명 도넛 브랜드 ‘노티드’와 협업하여 ‘노티드 우유’와 도넛 제품을 출시해 큰 인기를 끌었고, CU는 ‘속초 홍게 라면’을 출시해 지역 특산물을 손쉽게 맛볼 수 있게 했어요.
계속해서 진화하는 편의점, 편의점의 다음 스텝은 과연 무엇일까요?
오늘의 기획 상품 | 세 줄 요약! 😉
✔️ 최근 편의점은 단순한 쇼핑 공간을 넘어 문화와 트렌드가 어우러진 복합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어요.
✔️ 정기적으로 제품을 배송받거나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편의점 구독 서비스는 MZ 세대의 소비 트렌드와 잘 맞아떨어집니다.
✔️ 편의점은 ‘가성비’와 ‘시성비’를 모두 잡으며 다양한 수요층을 끌어들이고 있어요.

이주의 신상품 #223
💥공연시장 | 🏆노벨문학상 | 🎣밤낚시 | 🍴F&B | 💪헬스디깅
문화 콘텐츠 관련 새로운 이슈들을 짧게 요약, 정리해봤어요. 기사 전문은 제목을 클릭하세요.
💥공연시장 매출 첫 1조원 돌파
- 예술경영지원센터 ‘2024 공연예술조사’ 결과, 지난해 공연예술시장 전체 매출액은 약 1조4227억원
- 2022년 약 9725억원보다 4502억원(46.3%) 증가한 수치
- 코로나 팬데믹 종식 이후 공연이 크게 늘어난데다 물가 상승으로 티켓값과 인건비 등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
🏆다가오는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식
- 한국인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한강 작가의 시상식이 오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려
- 서울시, 시상식 당일 서울도서관에서 ‘2024 세계노벨문학축제’를 연다고 밝혀
- 이번 축제를 맞아 서울시 공공도서관 232곳에서 연체 이용자들 대상으로 대출 제한을 해제해주는 ‘한강 특별사면’도 시행
🎣단편영화 ‘밤낚시’ 한국광고대상 3관왕
- 배우 손석구와 현대자동차 등이 공동 제작한 단편 영화 ‘밤낚시’가 대한민국광고대상에서 3관왕 차지
- ‘밤낚시’는 전기차 충전소를 배경으로 미스터리한 사건과 반전 스토리를 다룬 단편 영화로, 해외 유수의 영화제 등에서 주목 받아
- 독특한 제작 방식과 러닝 타임 10분 내외의 ‘스낵 무비’ 장르의 도입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아
🍴2024 F&B 트렌드 복습하기
- ‘마라탕과 탕후루’ 양대 산맥 구조 이어졌지만 건강 관련 키워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탕후루에 대한 관심이 급감
- 야구 푸드로 시작한 요아정의 인기는 인기 유튜버들이 저마다의 ‘꿀조합 토핑’ 콘텐츠를 만들며 날개 달아
- ‘건강’은 꾸준 키워드, 2025년은 ‘내가 먹는 것’이 ‘나’를 말해준다는 가치를 섭취하는 해가 될 지도 모르겠다는 예상
💪건강관리 몰입하는 ‘헬스디깅족’ 늘어
- 헬스디깅은 ‘건강(Health)’과 ‘채굴하다(Digging)’는 뜻의 영어를 합친 신조어
- 꾸준한 운동은 물론 식품을 선택할 때도 영양을 꼼꼼히 따지며 건강관리에 몰입하는 것
- 2040 MZ세대 직장인들은정기적 영양제 섭취(35.3%)와 꾸준한 운동(21%)으로 건강관리 중

MD 추천 #223
바람따라 떠나는 ‘풍향고’💨
유튜브 ‘뜬뜬’
어플 없이 떠나는 ‘노어플 여행’으로 단숨에 이목을 끈 여행기. 재생시간이 길지만 정신 차리고 보면 끝나있을걸요!
이제 정말 편의점은 없으면 불편한 것이 되어버렸어요. 저는 집이나 여행지의 숙소를 구할 때도 근처에 편의점이 있는지를 찾아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