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여전히 책을 읽는 동물로 남을까

신쵸샤(新潮社) 신문광고

39
1

“요약해줘”

이 한 마디면 며칠 밤을 새워도 다 읽지 못할 분량의 자료 몇 백페이지를 불과 몇 초만에 완벽하게 정리해준다. 챕터별 주요논점까지 짚어서 상세히 설명해준다. 게다가 자료를 활용할 방향까지 세세히 알려준다. ‘내가 그동안 해 온 일이 뭔가’라는 생각에 마음이 허무해질 정도다.

그 뿐이 아니다. 광고주에게 제안할 광고 아이디어의 이미지를 만드느라 쓰던 시간이 반의 반의 반 이하로 줄었다. 콘티를 그리거나 참조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라이브러리 이미지를 찾고 합성하는 일이 거의 없어졌다. 만들고 싶은 이미지를 설명하면, 뚝딱 그림을 대령한다. 아무리 수정해달라고 해도 짜증을 내는 법이 없다. 

내 삶을 빠르게 장악하고 있는 생성형AI의 이야기다. 오픈AI의 챗GPT 열풍이 잠시 주춤하는가 싶더니, 앤트로픽의 클로드, 구글의 제미나이가 함께 각축을 벌이며 발전하면서, AI들의 결과물이 눈에 띄게 좋아졌다. 초기에 몇 번 만져보고는 ‘인공지능 아직 별거 아니네’라며 실망했던 사람들이, 다시 키보드를 두드리며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이라고 부르는 오류가 줄어들고 급기야 AI검색까지 선보이면서ㅡ 인공지능으로 할 수 있는 일의 양과 질은 물론 신뢰도도 급격히 높아졌다. 매체마다, 전문가들마다 AI시대로 빠르게 진입하는 세상을 분석하고 전망하고 있다. 

요즘 나는 챗GPT, 클로드, 퍼플렉시티, 라이너, 미드저니 같은 AI를 끼고 일하고 있다. 어느새 즐겨찾기 목록에 인공지능 폴더가 자리잡았고, 그 안에 수많은 사이트들이 연결되어 있다. 인공지능 목소리, 번역, 캐릭터, 트랜스크립션까지 합치면 10여개의 AI 서비스를 일상업무에 사용하게 됐다. 업무 처리 시간은 빠르게 줄었고, 할 수 있는 일의 양은 비약적으로 늘었다. 압도적인 효율에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다. 

이 쯤 되면 책도 한 페이지씩 넘겨 읽는 대신 AI에게 물어보는 게 현명하지 않을까? 아무리 두꺼운 책이라도 AI는 친절하게도 책의 내용을 빠짐없이 깔끔하게 정리해줄 수 있다. 내용을 요약하고 해석해줄 뿐만 아니라, 내가 무엇을 얻어야하고 무엇을 느껴야할 지까지도 알려줄 것이다.

10명중 6명은 책 읽지 않는 시대

그렇잖아도 우리는 점점 더 책을 읽지 않는다. 통계는 이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3 국민독서실태조사’에 따르면, 성인의 연간 종이책 독서율은 43%라고 한다. 우리나라 성인 독서율은 해마다 꾸준히 떨어지고 있다. 10명중 6명은 1년 동안 단 한 권의 책도 읽지 않는 상태까지 왔다.  

드라마도, 영화도, 유튜브도 숏폼으로 즐기는 시대에 책을 읽는 일은 점점 더 과거의 유산이 될 지도 모르겠다. 긴 시간 책과 씨름하며 자신만의 의미를 만들어가는 수고로움 대신 누군가가 뽑아낸 핵심만 빠르게 습득하는 것이야말로, 매우 효율적인 요즘식 생활이 아니겠는가. 이런 시절이라 생각나는 카피가 있다.  

人間は
本を読む動物である。

인간은 
책을 읽는 동물이다.

人間は
本を読む動物である。인간은 
책을 읽는 동물이다.1980년대 후반, 일본의 대표적 출판기업인 신쵸샤(新潮社)가 내놓은 카피다. 이 문장은 ‘상상력과 수백엔’이라는 슬로건으로 유명한 ‘신쵸문고’의 책들을 소개하는 광고물에 실려 있다.

1980년대 후반, 일본의 대표적 출판기업인 신쵸샤(新潮社)가 내놓은 카피다. 이 문장은 ‘상상력과 수백엔’이라는 슬로건으로 유명한 ‘신쵸문고’의 책들을 소개하는 광고물에 실려 있다. 저렴한 가격으로 시대의 지성과 상상력을 만나보라는 문고판 도서들의 목록과 함께 이 카피는 광고이미지를 좌우로 가르며 중앙에 단호하게 자리잡고 있다. 

1987년판 TCC 카피연감에 등재된 이 카피는 1970~1980년대 일본 출판계의 분위기를 살짝 엿보게 해준다. 신쵸샤를 비롯해 카도카와쇼텐(角川書店), 슈에이샤(集英社) 등 당시의 주요 출판사들의 시리즈 광고물에는 유독 ‘성찰’이라는 주제가 자주 등장한다. 광고의 이미지나 카피가 책을 ‘지성인들이 성찰을 하는 매체’로 표현한 작품들이 많다. 

젊은 시절의 류이치 사카모토가 등장한 신초샤의 TV광고(1981)는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는 고독한 지성인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카도카와쇼텐의 1974년 광고의 카피는 ‘여행을 떠나는 한권의 책’이다. 그런데 이미지는 즐거운 여행의 모습을 그리고 있지 않다. 광활한 사막 한가운데 고독하게 서 있는 한 사람의 모습이 조그맣게 드러나 있을 뿐이다. 자신의 내면으로 떠나는 외로운 여행을 상징하는 것이다.

브런치 글 이미지 2

그 분위기에 정점을 찍는 것이 바로 ‘인간은 책을 읽는 동물’이라는 신쵸샤의 카피다. 학교에서 배운대로 생각하는 동물(호모 사피엔스), 유희하는 동물(호모 루덴스), 도구를 사용하는 동물(호모 파베르) 등 인간을 규정하는 다양한 정의가 있다. 이 카피는 그와 비견할만한 무게를 가지고 있다. 책을 읽으며 길러진 지성은 인간과 동물을 구별하는 잣대가 된다고 단언한다. 

출판 광고의 분위기는 1990년대가 되면서 달라진다. 일본경제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출판산업도 커져갔다. 광고 속의 책의 이미지는 모든 사람들의 생활의 일부로서 자리하게 됐다. 더 이상, 독서가 인간과 동물을 가르는 기준으로 무겁게 의미부여하지 않는 시대로 접어들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신쵸사의 카피는 광고적으로는 그 소임을 다했다. 그러나, AI가 사람의 생각을 점점 대신하게 되는 시대에 다시한번 그 의미를 곱씹어보게 된다. 

책을 ‘읽는’다는 것이 시각을 통해 기호를 뇌가 인식하여 정보를 취득하는 것에 그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단순히 정보가 들어와서 이를 처리하기만 하는 것이라면 AI 같은 기계가 더 잘하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읽는’ 것을 다르게 정의하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읽는 행위를 다시 생각하다

‘읽는’다는 것은 책을 통해 들어온 정보가 나의 세계와 만나는 것이다. 검은 글자들 사이에서 자신만의 이야기를 발견하고, 시간과 공간을 넘나들며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일이다, 저자의 숨결을 더듬어가며 새로운 세계를 만나는 특별한 경험이다. 하나의 우주와 만나는 일이고, 다른 인간의 생각과 감정을 체험하는 일이며, 자신의 내면으로 깊이 들어가는 여정이다. 한 페이지, 한 페이지를 넘기는 느린 여정 속에서 우리는 생각하고, 상상하고, 공감하고, 성장한다.

어쩌면 AI 시대야말로 진정한 ‘책 읽는 동물’로서의 정체성이 더욱 중요해지는 시기일지도 모른다. AI가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처리하고 분석해주는 시대이기에, 역설적으로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읽기’의 가치가 더욱 빛나게 된다. 느리지만 깊이 있게, 비효율적이지만 창조적으로, 수고롭지만 인간답게.

시간을 들여 읽은 책은 AI가 알려준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내 안에 남겨준다. 책장을 덮는 순간의 충만감, 그리고 읽은 이후에도 내 생각과 삶 속에서 살아 공명하는 이야기. 이것은  AI가 모든 책을 대신 읽어준다 해도 바꾸기 힘든 특별한 경험이 될 것이다. 

머지않은 미래에 이 글이 ‘책에 대해 사람이 쓴 구시대의 유물 중 하나’로 발견되어 신기하게 읽히는 날이 오게 되지 않을까 걱정이다.


이 글은 AD-Z(광고계동향) 2024년 11/12월호에 실렸습니다. 

정규영의 더 많은 생각이 궁금하다면?

✅ 브런치 https://brunch.co.kr/@gounsun

정규영
글쓴이

정규영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답글 남기기

댓글 1

  1. 253

    역설적으로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읽기’의 가치가 더욱 빛나게 된다.

    단순 정보 획득이 아닌, 읽기의 새로운 가치에 대해서 더 고민해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정규영 일러스트

정규영

다른 아티클 보기

카피수집(15) 돌아오는 당신이 최고의 선물

카피수집(14) 선생님은 좋겠어요...

3분짜리 사막 장면에 숨죽이던 시대의 종말

아직 구독 전이신가요?
구독하고 더 많은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이름/회사명

마케터에게 제안하기

마케팅, 강연, 출판, 프로젝트 제안을 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