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버는 되고 우버처럼은 안된 이유

기획서에 스티커처럼 붙이는 레퍼런스, 보기 좋게 모아둔 스크린샷. 그 모든 것들이 본질을 위한 탐색이 아니라 귀찮음을 덜기 위한 복제라면?

48
0

우버는 되고 우버처럼은 안된 이유

우버 로고

최근 해외 뉴스레터를 보다가 흥미로운 팝업을 목격했습니다.
두 개의 아티클 제목이 나란히 떴죠.

처음엔 그냥 흥미로운 제목 정도로 넘겼습니다. 그런데 잠시 후 다시 보니, 이 두 글이 같은 구조를 공유하면서도 전혀 다른 운명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완벽한 비교 대상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이 둘 사이에서 저는 마케터로서의 제 고민에 대한 실마리를 발견했습니다.

웹서핑 중 마주한 팝업


카피는 창조의 어머니?

일을 하다보면 기존과 다른 무언가를 만들어야 한다는 압박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기획을 시작할 때마다 ‘레퍼런스’를 찾습니다.
핀터레스트, 비헨스, 인스타그램, 해외 성공 사례, 그럴싸한 캠페인.

레퍼런스를 찾다가, 결국 레퍼런스로 끝나는 자신을 자주 마주합니다.

그리고 저는 스스로에게 질문하게 됩니다.

나는 무엇을 위해 레퍼런스를 켜고 그들을 카피하고 있는가?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기 위한 준비? 아니면 귀찮은 과정을 생략하기 위한 핑계인가?

이 글은 질문의 해답을 위해 우버를 스터디한 기록입니다.


우버의 본질은?

David Sacks가 정의한 우버의 성공 원리는 다음 세 가지로 정리됩니다.

  1. 픽업타임 단축
    수요와 공급이 많아질수록 대기 시간은 줄고, 신뢰는 올라갑니다.
  2. 커버리지 확장
    도심에서 시작해 외곽까지 커버하며, 더 많은 수요를 흡수합니다.
  3. 드라이버 워크타임 증가
    드라이버가 ‘노는 시간’이 줄어듦 → 수익이 올라감 → 가격 인하 가능 → 다시 수요 증가

즉, 우버의 본질은 사람과 차를 가장 빠르고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수요-공급 동기화였죠.


그런데, ‘Uber for X’는 왜 망했을까?

“우버 방식으로 ○○를 해보자!”

여기서 ‘X’는 세차, 마사지, 발렛, 세탁 등 모든 서비스가 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사라지게 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 공급자 확보 비용은 우버와 비슷한데
  • 일의 빈도는 적고, 수요는 불규칙
  • 그래서 공급자는 놀고, 수익 구조는 무너집니다.

결국 uber for x는 “형식만 복사하고 본질적인 구조를 만들어내지 못한 모델”이었습니다.

글의 흐름상 ‘우버처럼’을 ‘Uber for X’로 표현했습니다 🙂


카피와 창조의 그 사이에서

우버를 따라한 수많은 스타트업은 우버의 UX만 복사했습니다.

하지만 우버의 본질은 그게 아니었죠.

카피는 본질을 만들기 위한 탐색이어야 한다.”

기획서에 스티커처럼 붙이는 레퍼런스, 보기 좋게 모아둔 스크린샷.
그 모든 것들이 본질을 위한 탐색이 아니라, 귀찮음을 덜기 위한 복제라면?
우리는 결국 Uber for X와 같은 결말을 맞게 됩니다.


인사이트

1. 카피는 본질을 위한 탐색이어야 한다.

슬로건, 앱 인터페이스, UX를 따라하는 건 쉽습니다.

하지만 ‘본질’을 이해하고 설계하는 건 전혀 다른 문제입니다.

2. 소비자만 보는 건 반쪽 전략이다

우버는 드라이버 확보와 유지를 사업의 중심에 뒀습니다.

대부분의 마케터는 사용자 유입만 생각하지만, 공급자 관리도 UX만큼 중요합니다.


마무리하며

우버는 상징이 되었고, 다른 이들은 적당히 회자되다 사라졌습니다.

마케터라면 이제 물어야 합니다.

당신은 지금, 무엇을 위해 카피하고 있나요?
본질을 위한 탐색? 혹은 귀찮음을 덜기 위해서?

참고 링크

진형욱
글쓴이

진형욱

되는 이유를 찾습니다.

큐레이션된 정보를 전달드립니다. 

합격보상금 100만원

[톰] 퍼포먼스 마케터

앳홈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브랜드 마케터

유니크굿컴퍼니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전시기획 및 미디어 콘텐츠 기획자 (전시사업 기획 및 수행)

엠지시지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퍼포먼스 마케터 (1-3년차)

마티니아이오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제휴 마케터(부산)

페이타랩(패스오더)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그로스 마케터(그로스해커), 부산

페이타랩(패스오더)

상시

출처: 원티드

답글 남기기

KakaoTalk_20240924_182933632

진형욱

매니저

다른 아티클 보기

테토남 에겐남 테토녀 에겐녀, 궁금한 사람들 당장 들어오세요.

굳이, 예술처럼 일한다는 것

퉁퉁퉁 사후르 밈 궁금한 사람들 당장 들어오세요

아직 구독 전이신가요?
구독하고 더 많은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이름/회사명

마케터에게 제안하기

마케팅, 강연, 출판, 프로젝트 제안을 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