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의 제텔카스텐

27
0

연결되지 않은 생각의 공동묘지를 넘어서

우리는 매일 뭔가를 스치듯 저장한다.
링크를 복사해 카톡창에 붙이고, 북마크에 넣고, 스샷을 찍고, ‘나중에 보기’로 다짐한다.
그런데 ‘나중’은 좀처럼 오지 않는다.

나 아님…맞음.

정보는 흘러가고, 메모는 잠들고, 아이디어는 다시 꺼내지 않는다.
문제는 저장의 부재가 아니라, 연결의 부재다.


마케터에게 ‘연결되지 않은 메모’는 무엇을 의미할까?

캠페인 회의 중에 나왔던 번뜩이는 인사이트,
누군가 슬랙에 올린 잘 만든 외국 사례,
클라이언트 피드백에서 느꼈던 작은 아이디어의 단서들.

그걸 기억하긴 하는데…
막상 기획안을 쓸 때, 콘텐츠를 설계할 때는 꺼내 쓰지 못한다.

“그때 어디서 봤는데…”라는 말로 묻히는 아이디어들.
이제 그걸 살려낼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제텔카스텐은 예쁘게 보관한 종이 카드가 아니다

정보 정리는 우리에게 익숙한 일이다.
그러나 제텔카스텐은 처음부터 ‘정리’를 목적으로 설계되지 않았다.

루만이 만들었던 건 사고의 순서를 따르지 않는 메모 시스템이었다.
아이디어 하나를 쪼개고, 다른 아이디어와 연결해보고, 그 사이에 제3의 노트를 끼워 넣는 구조.

정리가 아니라, 생성이다.
제텔카스텐은 메모가 아니라, “메모 간의 길”을 만드는 방식이다.


그런데 지금, AI가 다 해준다?

여기서 질문 하나.

GPT가 요약하고, 분류하고, 태깅하고, 연결까지 제안한다면
제텔카스텐은 이제 무의미해진 것 아닐까?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말한다.
“이제는 그냥 GPT에게 ‘~에 대해 정리해줘’라고 하면 끝인데 굳이 내 손으로 메모를 쪼개고 연결할 필요가 있나?”

이 말에는 일정 부분, 설득력이 있다.
AI는 이미 ‘정보를 저장하고, 조직하고, 다시 꺼내는’ 많은 과정을
사람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해낸다.

제텔카스텐이 강조해온 ‘구조화’나 ‘연결’조차도,
AI에게 맡기면 더 잘하는 시대가 이미 온 것일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는 질문

그런데 AI는 연결을 ‘제안’할 수 있을지 몰라도,
‘무엇이 중요한 연결인가’를 판단하지는 못한다.

AI는 연관성을 보여준다.
하지만 의미의 구조는 여전히 인간의 몫이다.

GPT는

  • “이 키워드는 이와 자주 함께 등장해요”,
  • “이 주제는 이런 맥락으로 요약할 수 있어요”,
  • “비슷한 아이디어가 이 논문에도 있어요”
    라고 말해줄 수 있다.

그러나

  • “이건 우리가 다음 분기에 실제로 써먹을 만한 인사이트다”,
  • “이건 브랜드 톤앤매너에 어긋난다”,
  • “이 연결은 지금 우리 팀의 페이즈와 맞지 않는다”
    고 말해줄 수는 없다.

이런 맥락 판단의사결정, 우선순위 설정
여전히 인간만이 할 수 있다.


마케터에게 중요한 건 ‘정보력’이 아니라 ‘편집력’

마케터의 일은 단순히 많은 정보를 아는 게 아니라,
무엇을 채택하고 무엇을 버릴지 결정하는 능력에 가깝다.
이건 곧 ‘편집자적 감각’이다.

AI는 필터가 없다.
무한히 준다.
그래서 오히려 생각의 연결은 더 어려워졌을 수도 있다.


AI가 제텔카스텐을 무의미하게 만들 수 있다.
다만, 그건 우리가 생각을 멈출 때의 이야기다.

제텔카스텐은 더 이상 종이 카드가 아니다.
AI와 함께 쓰일 수 있는 사고의 망이다.
그리고 그 연결을 유의미하게 만드는 건,
결국 어떤 질문을 던지느냐에 달려 있다.

이재훈 디렉터
글쓴이

이재훈 디렉터

세상의 모든 것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큐레이션된 정보를 전달드립니다. 

합격보상금 100만원

Global Marketing Assistant

아시아마스터트레이드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마이노멀] 일본 시장 마케터

마이노멀컴퍼니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Global E-commerce Assistant Manager

아시아마스터트레이드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그로스 마케터 (2~5년)

레드뉴트리션

2025-06-11

합격보상금 100만원

[WIPPY] 그로스 마케터

엔라이즈(NRISE)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Global Sales Manager(영미권)

뉴베슬

상시

출처: 원티드

답글 남기기

leejaehun profile picture

이재훈 디렉터

다른 아티클 보기

위픽 인사이트서클 vol.2 회고

샘 알트먼 손글씨 습관이 말해주는 창의적 생존 전략 – AI 시대의 느린 글쓰기

모든 마케팅 채널이 망가진 지금, 구조를 설계하는 사람만 살아남는다

아직 구독 전이신가요?
구독하고 더 많은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이름/회사명

마케터에게 제안하기

마케팅, 강연, 출판, 프로젝트 제안을 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