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분석가가 제안하는 구글 애널리틱스4 (GA4) 기본기

158
1

이 글을 읽는 분들은 구글 애널리틱스4(GA4)에 대한 중요성은 충분히 인지하고 있을 것 입니다. 하지만 막상 실무에서 GA 데이터를 분석하려고 하면, “내가 보고자 하는 데이터는 어디서 어떻게 확인해야 하지?”, “이 항목은 어떤 기준으로 측정된거지?”라는 질문이 따라오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GA4에서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해 반드시 이해해야 하는 기본 개념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프롬프트

GA4 데이터 흐름 설명 (사용자-세션-이벤트 구조의 흐름)

visit and read the following articles in full:
https://support.google.com/analytics/table/13948007,
https://letter.wepick.kr/?p=4438336Based on the actual content of both pages, can you explain how data flows in GA4 through the user, session, and event structure?
Please include how each level (user, session, and event) is defined and how they relate to each other in the data model.Answer in Korean.

session_start 이후 이벤트에 source/medium이 연동되는 방식

open and read the following pages thoroughly:
https://support.google.com/analytics/table/13948007,
https://letter.wepick.kr/?p=4438336Based on the actual content of these pages, how are the source and medium parameters associated with events after the session_start event in GA4?explain the attribution logic and how session-scoped traffic source data is maintained across events.Answer in Korean.

측정기준(Dimension)과 측정항목(Metric)의 차이

visit and read carefully the content of the following pages:
https://support.google.com/analytics/table/13948007,
https://letter.wepick.kr/?p=4438336Using insights based on what you actually read from these sources,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dimensions and metrics in GA4?
Please provide clear definitions, their roles in reports, and some typical examples used in analysis.Answer in Korean.

소스/매체 vs 세션 소스/매체 차이

open and analyze the content from these two links:
https://support.google.com/analytics/table/13948007,
https://letter.wepick.kr/?p=4438336Based on the actual content from both pages, how are source/medium and session source/medium different in GA4?
Please explain their definitions, use cases, and how they might show different values depending on user behavior.Answer in Korean.


구글 애널리틱스4(GA4)는 이벤트 기반 구조

GA4는 이벤트 기반 구조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사용자의 세션이 시작될 때 session_start 이벤트가 생성되고, 그 이후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는 이 세션에 연결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4(GA4) 이벤트 구조 설명

각 이벤트는 source, medium, campaign 등의 유입 정보를 매개변수 형태로 포함하며, 이 정보는 분석의 핵심 축이 됩니다.

즉, 이벤트마다 트래픽 소스 정보가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 사용자라도 이벤트 단위의 데이터 해석이 가능하게 됩니다.

이 구조를 통해 사용자 행동의 세밀한 분석이 가능해집니다.


지표를 해석하려면 ‘측정기준의 범위’부터 이해해야 한다

GA4에서 혼동이 자주 발생하는 부분이 비슷한 이름의 지표라도 기준이 다르다는 점 입니다. 아래는 실무에서 자주 헷갈릴 수 있는 항목입니다.

자동 vs 수동 태깅

구글 애널리틱스(GA4) 세션 수동 소스/매체 에 대한 이미지
  • 세션 수동 소스/매체는 UTM 태그를 사용해 수동으로 명시한 값으로, 예를 들어 ?utm_source=newsletter&utm_medium=email을 붙인 경우 해당 값이 수동 소스/매체로 기록됩니다.

실무에서는 자동 태깅과 수동 태깅이 충돌하는 경우가 있어 정확한 캠페인 분석을 위해선 수동 태깅이 일관되게 적용되어야 합니다.

사용자 기반 vs 세션 기반

신규 사용자 소스/ 매체

구글 애널리틱스(GA4) 신규 사용자 소스/매체 에 대한 이미지
  • 사용자가 처음 웹사이트에 유입됐을 때의 채널을 기준으로, 이후에 어떤 경로로 재방문하든 이 값은 변하지 않습니다.

세션 소스/매체

구글 애널리틱스(GA4) 세션 소스/매체 에 대한 이미지
  • 각 세션마다 유입된 경로 입니다. 사용자가 검색을 통해 방문한 후, 세션이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메일을 통해 재방문했다면 같은 소스/매체가 기록됩니다.

세션 소스/매체와 소스/매체 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GA4 에서 ‘세션’이란 정확히 무엇인가?

**세션(session)**은 사용자의 활동 묶음으로, 기본적으로 30분 동안 활동이 없으면 종료 됩니다.

단순히 페이지를 본 횟수가 아니라, 세션 내에 어떤 이벤트들이 발생했는지가 중요한데, 특히 아래 조건 중 하나라도 만족하면 **참여 세션(engaged session)**으로 분류됩니다.

  • 사이트에 10초 이상 머무름
  • 전환 이벤트 또는 커스텀 이벤트 발생
  • 페이지/화면 조회 수 ≥ 2회

이 지표는 사용자 관심도를 파악하는 핵심 수치이며, 참여율(engagement rate)과 이탈률(bounce rate)을 계산하는 기준이 됩니다.


세션 소스/매체, 소스/매체 의 차이는?

이제 세션 기준에 대해 아셨으니 세션 소스/매체 와 소스/매체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1. 사용자가 google/organic 으로 사이트에 방문했다.
  2. 20분 후 같은 사용자가 이메일 링크를 통해 다시 사이트에 방문 했다.
  3. 링크를 통해 들어온 페이지에서 이벤트가 발생했다.

이 상황에서 세션 소스/매체, 소스/매체 의 값은 어떻게 될까요?

정답

지표
session source / mediumgoogle / organic
source / mediumnewsletter / email
  1. 20분 후기 때문에 1번 세션이 그대로 유지됩니다. (google/organic)
  2. 이벤트는 이벤트를 통해 들어온 경로 기준으로 측정되기 때문에 newsletter/email 을 값으로 가지게 됩니다.

이처럼 지표에 대한 이해가 있다면 상황에 따른 해석이 가능해져 데이터를 더 정확하게 바라볼 수 있게 됩니다.


트래픽 소스

용어설명
소스(source)사용자가 유입된 출처. 예: google, naver, newsletter 등
매체(medium)유입 유형. 예: organic, cpc, email 등
기본 채널 그룹(default channel group)GA가 자동 분류한 채널 카테고리. 예: Organic Search, Paid Search, Referral 등
세션 수동 소스/매체UTM 태깅된 값으로, 캠페인 효율 분석 시 핵심 기준
캠페인 성과 분석을 위해서는 utm_source, utm_medium, utm_campaign을 기반으로 구성된 지표를 중심으로 데이터 구조를 이해해야 합니다.

기여 분석 vs 획득 보고서

GA4에는 두 가지 방식의 트래픽 분석이 있습니다.

  • 획득 보고서세션이나 사용자 기준으로 유입 채널을 분석하고,
  • 기여 분석(Attribution) 보고서는 전환 이벤트 발생 시점의 채널 기여도를 계산합니다.

즉, 획득 보고서는 “어디서 왔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기여 분석은 “전환에 얼마나 기여했는가?”에 초점을 둡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처음엔 검색으로 유입되었다가, 나중에 이메일을 통해 구매했다면,

  • 획득 보고서에선 “검색”이 소스로,
  • 기여 분석에선 “이메일”이 전환에 기여한 소스로 분류됩니다.

GA4 지표/측정기준의 정의는 어디서?

GA4는 다양한 지표와 측정기준을 제공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한 정의를 이해하는 것 입니다.

여러 글들을 참고하는 것도 좋지만,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공식 문서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공식 문서 측정기준 및 측정항목 테이블 페이지에서는 각 항목의 정의, 범위, 활용 방법을 명확하게 안내하고 있습니다.

구글 공식 애널리틱스4 문서
GA4 공식 문서


지표가 많다고 해서 다 쓸 필요는 없습니다.

상황에 따라 필요한 지표를 정확히 이해하고 선택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GA4는 모든 사용자의 데이터를 이벤트 단위로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만큼 지표의 해석 기준이 명확히 구분되어야 정확하게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GPT 를 활용해 개발자가 아니어도 GTM 으로 GA4 이벤트 세팅하는 방법으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정진서
글쓴이

정진서

위픽코퍼레이션 데이터 분석가, 기획자, 멋쟁이를 맡고 있습니다.

큐레이션된 정보를 전달드립니다. 

합격보상금 100만원

퍼포먼스 마케터 (그로스 마케터)

힐링페이퍼(강남언니)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글로우엠] 콘텐츠 마케터

더그로스

2025-08-04

합격보상금 100만원

인하우스 퍼포먼스 마케터(1~5년)

레몬박스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인턴] 바이럴 마케터

더그로스

2025-08-04

합격보상금 100만원

[인턴] 글로우엠 인플루언서 마케터

더그로스

2025-08-04

합격보상금 100만원

[글로우엠] 인플루언서 마케터

더그로스

2025-08-04

출처: 원티드

답글 남기기

One thought on “데이터 분석가가 제안하는 구글 애널리틱스4 (GA4) 기본기

  1. 611
    · 2025-07-08 at 09:54

    이 시리즈가 너무너무 기대됩니다. 진서님

위픽 정진서 에곤실레 스타일 포트레이트

정진서

매니저

다른 아티클 보기

아직 구독 전이신가요?
구독하고 더 많은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이름/회사명

마케터에게 제안하기

마케팅, 강연, 출판, 프로젝트 제안을 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