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질문, “뭘 해주면 되냐?”

26
0

“단순히 질문만 해도 충분할 때가 있다. 하지만 그 질문에 당신이 생각하는 답을 알려주면 효과가 더 커지기 마련이다. “원하는 게 뭐예요?”는 대단히 강력한 질문이다. 함께 일하는 사람에게 이 질문을 던지는 데 그치지 않고 이에 대한 당신의 대답도 알려줄 경우 질문의 힘은 더욱 강해진다. 이번 장을 시작하면서 언급했던 어른 대 어른의 대화 속성과도 연결되는 얘기다. 상대가 원하는 바를 서로 이해하면 대하가 더욱 흥미진진하고 뜻깊어진다.”-117쪽, <리더의 질문력> 중에서

이 문장을 읽으면서 떠오른 게 대통령의 질문이었다. 대통령 당선 후 국민들과 갖는 대화의 자리에서 가끔 이런 질문을 던졌다.

“뭘 해주면 되냐?”

라는 것이었다.

“정부가 뭘 해주면 되냐”라는 질문에, 그 질문을 받은 사람은 선뜻 답을 하지 못했다. 물론 그 후에 재차 물을 때 다시금 ‘뭘 해주면 좋겠다’라고 말을 했다. 그렇지만, 그 답이 정말 원하는 것이었는지, 제대로 답을 했는지는 잘 모르겠다.

우리는 대화를 할 때 사실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다른 이야기로 시간을 들인다. 상대방도 무슨 말을 할지 대략 눈치는 채고 있지만, 가만히 지켜본다. 끝날 때쯤 몇 마디를 하면 다행이지만, 정작 해야 할 이야기를 하지 못하고 돌아올 때도 있다.

<리더의 질문력>을 쓴 마이클 번게이 스태니어는 “원하는 게 뭐냐”라고 물으면, 대부분이 갈팡질팡한다고 한다. 뭔가 답을 할 것 같지만, 본질을 파고드는 이런 질문에 대해서 알고 있어도 말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브런치 글 이미지 1

질문을 하는 것은 내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이런 질문을 받은 사람은 정작 원하는 것을 말하라고 하는데도 답을 선뜻하지 못한다. 왜 그런 걸까. 책임이 따르기 때문이다. 원하는 것을 말했을 때 그것대로만 해준다면, 더 다른 것도 말했어야 했는데 후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직접적인 질문은 결과 쪽으로 사람을 끌어당기는 효과가 있다고 말한다. 목적이 무엇인지 모르고 헤매는 것보다는 목적을 알고 그것을 맞게 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따져보면 되기 때문이다.

질문만 바꿔도 결과는 다르다. 변화를 갖고 싶다면 질문을 바꿔야 한다.

에디터의 더 많은 인사이트 보러가기 : https://brunch.co.kr/@jumjan

위픽레터 구독 가입하기
길윤웅
글쓴이

길윤웅

'관찰은 힘'이라는 생각으로 디자인과 마케팅, IT 분야에 관심 갖고 사는 도시산책자.

큐레이션된 정보를 전달드립니다. 

합격보상금 100만원

실적 분석 및 비주얼 콘텐츠 제작자

겟앤쇼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바이럴 마케팅 팀원

네오프

2025-08-31

합격보상금 100만원

AI 의료기기 마케팅 PM (3~10년)

타이로스코프

2025-08-15

합격보상금 100만원

마케팅 전략/운영 (시니어~리드급)

블루밍비트

2025-08-31

합격보상금 100만원

인플루언서 먹스타그램 콘텐츠팀(촬영·편집) 팀원

네오프

2025-08-31

합격보상금 100만원

Brand Manager

에이아이트릭스(AITRICS)

상시

출처: 원티드

답글 남기기

다운로드 (40)

길윤웅

다른 아티클 보기

질문은 더 나은 답을 얻기 위해서 하는 것

이해할 수 없는 것의 목록을 만들어라

뉴욕 '메트' 경비원이 말하는 대화 요령은 "질문"

아직 구독 전이신가요?
구독하고 더 많은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이름/회사명

마케터에게 제안하기

마케팅, 강연, 출판, 프로젝트 제안을 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