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트렌디한 밈 백과사전 : 밈키피디아

373
1
'2025 밈' 을 집대성한 사전 같은 콘텐츠인 밈키피디아의 썸네일

2025 트렌디한 밈 백과사전 : 밈키피디아

밈 이란?

‘밈(Meme)’이란 쉽게 말해 사람들 사이에서 빠르게 퍼지는 유행 콘텐츠예요. 특정 이미지, 동영상, 문구 등이 인터넷과 SNS에서 끊임없이 재창조되고 확산되면서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았죠. 주로 유머와 공감을 바탕으로 퍼지지만, 때로는 사회적 메시지비판적인 시각을 담아내기도 해요.

마케터가 밈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밈은 그저 웃고 넘기는 유행이 아니라,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를 잡아내고 이를 콘텐츠에 활용하는 마케팅 무기가 될 수 있어요. 적절한 밈 활용은 브랜드 메시지를 더 쉽고 재미있게 전달할 수 있고, 소비자와의 공감도 쌓을 수 있죠. 요즘 마케팅에서 트렌드 감각은 필수잖아요? 그러니 밈 트렌드도 놓치지 말아야겠죠! 👀

‘밈키피디아’ 가 도와줄게요!

위픽레터에서는 이미 여러 밈을 다뤄왔고, 앞으로도 계속 최신 밈 트렌드를 정리하고 업데이트할 예정이에요. 위키피디아처럼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밈 백과사전을 꿈꾸고 있죠. 이 글만 꾸준히 봐도 요즘 뜨는 밈들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을 거예요! 💡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는 마케터가 되고 싶다면, 이 글을 즐겨찾기 해두세요! 🔥✨

  • 목차
    • 괜찮아 딩딩딩
    • 웨잇 챌린지
    • 칠 가이
    • 퀸 네버 크라이
    • 헤어지자고 너 누군데?

📌 괜찮아 딩딩

출처 : 에스파 인스타그램

유래

‘괜찮아 딩딩딩’은 평소 한국 문화에 관심이 많은 인도네시아의 게임 스트리머 알딘 테가르(Ardin Tegar)가 방송 중 무심코 내뱉은 말에서 시작된 밈입니다. 그는 방송 중에 “I’m okay, I’m fine, 괜찮아~ 괜찮아~ 닝닝닝닝닝(딩딩딩딩딩)”이라고 말했는데, 이 장면이 클립으로 제작되어 SNS를 통해 퍼지며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게 되었죠! 인터넷 방송에서 시작 된 밈이 어느정도 사그라질쯤 최근에는 베트남 래퍼 7dnight가 베트남판 쇼미더머니에 출연해 ‘콩 싸오 까(KHÔNG SAO CẢ)’라는 곡에서 “괜찮아”라는 한국어 가사를 사용하며, ‘괜찮아 딩딩딩’ 신드롬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다양한 연예인, 인플루언서들이 챌린지로 해당 밈을 사용하기도 하더라고요!

🔗 자세히 보러가기

📌 웨잇 챌린지

출처 : 세븐틴 도겸

유래

웨잇 챌린지는 ‘Maps’의 ‘Yeah Yeah Yeahs’라는 노래를 배속한 bgm에 멈춰! 제스처와 잠깐의 골반 댄스로 이루어져 있어요. 챌린지의 맥락이 여러 상황에 적용이 가능해 다양한 챌린지들이 파생되고 있는데요? 웨잇 챌린지는 안무 중심으로 진행되기도 하지만, 특정 상황에 대한 반박이나 재치 있는 리액션을 유머러스하게 표현하는 데 활용되기도 합니다.

🔗 자세히 보러가기

📌 칠 가이

2025 화제의 밈 : 칠 가이 밈에 대표 캐릭터에요.

유래

칠 가이는 2023년 10월, 필립 뱅크스가 SNS에 처음 올린 가상의 곰 캐릭터로, 느긋한 눈매와 나른한 표정이 특징입니다. 이 캐릭터는 처음에는 단순한 위로를 건네는 ‘힐링 밈’으로 인기를 얻기 시작했으며, “인생은 원래 힘든 거야”나 “스트레스받지 마” 같은 문구와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이후 틱톡과 트위터(X)에서 다양한 상황에 활용되며 더 큰 주목을 받았고, ‘칠 가이 코인’ 같은 굿즈까지 등장하면서 인터넷 밈 문화를 넘어 하나의 콘텐츠로 자리 잡았습니다.

🔗 자세히 보러가기

📌 퀸 네버 크라이

2025 화제의 밈 : 웹툰 기자매 속 장면이에요. 어머니가 우는 아이에게 퀸 네버 크라이라 말하는 장면입니다.

출처 : 기자매

유래

‘퀸 네버 크라이(Queen Never Cry)’ 밈은 네이버 웹툰 기자매에서 시작되어 글로벌로 확산된 사례입니다. 웹툰 속 출산 직후 어머니가 아이에게 단호하게 “Queen never cry”라고 말하는 장면에서 비롯되었는데, 강렬한 대사와 아이의 다부진 표정이 독자들에게 큰 웃음을 주었어요. 이 장면은 해외 커뮤니티, 특히 레딧과 디스코드에서 패러디되며 밈 열풍을 일으켰고 일상 속 다양한 상황에 맞게 재해석된 콘텐츠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며 꾸준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 자세히 보러가기

📌 헤어지자고 너 누군데

유래

이 밈은 한 라이즈 팬이 트위터(X)에 소희의 사진을 활용한 개그성 트윗을 올리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짤의 찰진 멘트와 절묘한 사진 선택이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키며 빠르게 확산되었죠. 이후 소희 본인이 직접 밈을 재연하면서 다시 한번 화제를 모았고, 다양한 아이돌들이 챌린지를 통해 참여하며 더 큰 바이럴 효과를 냈습니다. 트위터 같은 소셜 미디어에서 시작된 만큼, 마케팅 담당자들은 최신 트렌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

🔗 자세히 보러가기

진형욱
글쓴이

진형욱

되는 이유를 찾습니다.

답글 남기기

댓글 1

  1. 262
    · 2025-01-16 at 09:26

    진짜 위키 운영 처럼 밈키피디아를 만들어 보면 어떨까요?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91839&cid=42171&categoryId=42185#TABLE_OF_CONTENT2

KakaoTalk_20240924_182933632

진형욱

매니저

다른 아티클 보기

이토록 자연스러운 PPL 광고 #띱 #스케치코미디

10가지 주요 마케팅 종류, 빠르게 알아보기!

위픽레터 담당자들의 책상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아직 구독 전이신가요?
구독하고 더 많은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이름/회사명

마케터에게 제안하기

마케팅, 강연, 출판, 프로젝트 제안을 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