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직장인 기본 소양 – AI 서비스 기획

21
0


요즘 정말 많은 분야에서 AI 자동화에 대해 논하기 시작했습니다. AI 서비스 기획자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는데요. 인력 공급도 적을 뿐 아니라, AI 서비스 기획자가 특정 도메인에 대한 지식이 있느냐도 너무나 중요하기 때문에 적임자를 찾기 힘든 상황입니다. 해당 업무 프로세스를 이해하는 사람이 AI 자동화도 할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인지 최근 기업에서 AX (AI Experience) 교육을 직원들에게 전파하려는 노력을 시작했는데요. 마케팅, 인사, 물류, 영업 구분 없이 모든 담당자가 본인 업무의 AI 도입을 설계할 수 있는 사람이 되기를 원하기 시작한거죠. 물론 지금부터 2-3년 내에 본인의 도메인 안에서 이 경험을 해본 사람이 엄청난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고요.


AI 서비스의 분류


강사를 찾기 어려운 분야이기에 심지어 저에게도 강의 기회가 오고야 말았습니다. 공부삼아 참여했던 컨퍼런스에서 AI 기획에 대해서 발표한 것이 계기가 되었는데요. 

>> https://www.youtube.com/embed/2y3z_Tt_5d4?si=heh9ZkLbPiexXexs

이런 영상을 검색으로 찾고 연락을 주시니 신기할 뿐 �



네..? 저보고 AX 교육을 하라고요?


물론 직장에서 데이터바우처 사업으로 AI 자동화를 경험해보기도 했고, AI 서비스 챌린지에도 참여해보기도 했었고, 업무 중 AI 활용을 많이 하고 있기는 하지만 처음엔 자신이 없었어요. 그래도 도전하기로 하고 대기업 등 몇 차례 종일 실습 교육을 해보았는데, 아웃풋이 엄청납니다! � 더 많은 분들이 경험했으면 좋겠다 싶어요.


이 AI 서비스 기획 강의가 인문계로서 [ 마케팅 / 데이터 / AI ]를 모두 경험해 본 저에게 딱붙이더라고요.

제가 인문계이기에 머신러닝, 딥러닝, 지도학습, 강화학습… 이런게 얼마나 어려운 용어인지를 압니다. 그래서 일반인들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요. 예를 들어 지도학습은 ‘정답이 있는 문제지로 공부하는 학생’이라고 설명하죠!



그리고 마케터로 일했기에 실제 기획 방법에 대해서도 익숙합니다.

❶ 사용자의 Pain Point 또는 시장성에서 아이디어 시작하기

❷ ICP (Ideal Customer Profile)를 정의하고 제공 가치 정의하기

❸ 단순한 모델로 부터 효용성을 느낀 후 더 큰 기능으로 점진 개선하기

❹ 성공 지표 (업무 효율화 또는 추가 수입)에 대해 사전에 명확히 정의하기

❺ 사용자의 피드백 선순환 루프 만들기

와 같은 기획 프레임워크에 맞추어 실습을 진행해요.


기획 과정에서 조별로 고민하는 총 24개에 질문 중 일부


그리고 데이터분석가로 일했던 것이 결정적이었습니다. AI 서비스는 특정 기업에서만 가지고 있는 차별화된 데이터가 필수인데요. 남들이 다 가진 데이터로 만든 AI 서비스는 쉽게 따라잡힐 수 있기 때문이에요. 현재 데이터 수집 상황은 어떤지, 수집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AX의 기반이 되는 DX 자동화 프로젝트의 성공/실패 경험에 대해서도 조언드릴 수 있더라고요.



데이터가 잘 정제되어 여러 팀 간에 연결이 되어 있어야, AI 자동화를 할 수 있으니까요!


말로만 들으면 어려운 AI 서비스 기획을 정말 쉬운 용어로 아래와 같은 단계로 조별 실습을 진행했더니,

❶ 데이터 탐색과 필드별 역할 설정

❷ GPTs로 간편히 데이터 분석 결과 살펴보며 구체화하기

❸ 사용자에게 효용성을 줄 수 있는 가치 정의

❹ 상세한 기술적 플랜을 짜고 성공 기준 정의하기

❺ ChatGPT로 실제 인터페이스 설정하기

많은 분들이 정말 재밌어하며 실습하셨어요!

(강사 입장에서는 웃으면서 조 논의를 하는 장면이 가장 신이 납니다.)


결과물 짠!


실제 회사 업종에 맞게 준비해간 샘플 데이터로 열띈 토론이 이어지기도 했고요.

(~~이런 데이터가 더 필요할 것 같다, 이런 분석이 더 필요하다 등)


기업 강의 후 정말 좋은 후기도 대면으로 많이 들었는데요.

“지금 하고 있는 업무에서 자극이 정말 많이 된다.”

“AI 서비스 기획은 전문 엔지니어가 담당하는 줄 알았는데 기획은 생각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단계가 있는 것 같아 용기가 생긴다.”

등등 보람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그러다보니 현재 도메인 업무에서 AI 기획 역량을 늘리고, AI에 대체되는 사람이 아닌, AI를 다룰 수 있는 분들을 위해, 수요 조사 후 오프라인 강의를 해보고 싶다는 열망이 생겼습니다. � 

기업 강의로만 듣기에는 너무 아까울 것 같아요!!!



브런치 독자 분들 우선으로 수요 조사 후 자리를 마련해보고 싶습니다. 🙂

AI 서비스 기획에 대한 내용이 도움이 되셨고, 실제 실습해보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로 답변해주세요!


https://forms.gle/uKtiG1kS3s86XdgQ9





강의/컨설팅 문의: seulki.kang@kakao.com

SNS 채널/강사 프로필: https://bento.me/seulkikang

https://bento.me/seulkikang


😊강슬기님의 더 많은 인사이트 구경가기
브런치
링크드인

강슬기
글쓴이

강슬기

마케팅 데이터 분석가 강슬기입니다. 최근에는 AI 활용과 링크드인 네트워킹에 관심이 많아 해당 내용으로 온라인 강의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링크드인에 마케팅, 데이터, AI 실무와 커리어에 도움이 될만한 인사이트를 거의 매일 업로드하고 있으며, 5천명 이상의 팔로워와 Top Marketing Voice 뱃지를 획득, 국내 링크드인 계정 순위 17위, 마케터 1위를 기록했습니다.

💌 강의/컨설팅 문의: seulki.kang@kakao.com

큐레이션된 정보를 전달드립니다. 

합격보상금 100만원

어노브 브랜드 마케터(시니어)

와이어트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일본 이커머스 어카운트 매니저-Rakuten/Amazon.jp/Qoo10

코모토모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마케팅팀] 모도리 퍼포먼스 마케터

블랭크(Blank)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퍼포먼스 마케터

와이어트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마케팅 리더 (5년 이상)

스퀘어스

2025-06-30

합격보상금 100만원

닥터포헤어 브랜드 마케터

와이어트

상시

출처: 원티드

답글 남기기

Beige Clean Minimalist Accountant Linkedin Profile Picture (1) - Seulki Kang

강슬기

다른 아티클 보기

엑셀 파일 - 보고서 자동변환 ChatGPT 프롬프트

N잡러의 효율적인 삶 - AI 프롬프트 요령 (2편)

N잡러의 효율적인 삶 - AI 프롬프트 요령 (1편)

아직 구독 전이신가요?
구독하고 더 많은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이름/회사명

마케터에게 제안하기

마케팅, 강연, 출판, 프로젝트 제안을 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