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만 되면 쏟아지는 이벤트.
하지만 담당자는 이런 고민 먼저 떠올리죠.
“예산은 줄었는데 임팩트 낼 수 있을까?”
“배송 사고, 반품 리스크 어떻게 막지?”
“참여자 만족도는 뭘로 높일까?
명절 캠페인을 진행할 때, 막판에 선물 배송 사고 터지면 하루종일 CS에 시달리게 되는데요.
그래서 요즘은 배송 리스크 없는 모바일 기반의 추석 선물을 대안으로 많이 거론하고 있어요.
📌 모바일 기반 추석 선물이 대세인 이유
-
⚡ 즉시성: 카톡·MMS 발송 → 바로 수령 → CS 부담↓
-
💰 효율성: 대량 구매 시 할인율 적용, ROI 관리 용이
-
🎨 브랜딩: 메시지 카드에 브랜드 톤앤매너 반영 가능
✅ 추석 선물 이벤트 실무 체크리스트
-
추석 선물 이벤트 예산 설계
그동안 단순하게 상품 5천원 X 1,000명 = 500만원 식으로 계산하셨나요?
-
단가 계산만 하지 말고 ➕ 발송 수수료·부가세까지 포함
-
예비비 10~15%는 꼭 남겨두기
-
대상별 선물 카테고리
-
직원: 실용성 (커피/편의점/베이커리)
-
거래처: 상징성 (백화점·프리미엄 세트)
-
참여자: 범용성 (배달·네이버페이)
👉 저단가 선물 (스타벅스 / 편의점 금액권) 전원 증정 + 고단가 선물 (상품권) 추첨 조합이 효율적
-
발송 방식
그동안 일일이 경품을 당첨자에게 발송 하셨나요?
-
엑셀 업로드 : 명단만 있으면 수천 건도 단체 발송
-
핀(PIN) 발행 : 연락처 수집 없이 쿠폰 번호·이미지 배포
-
증빙·회계 처리
회계 계정 처리는 물론 증빙에 필요한 필수 서류들을 미리 준비 해두고 있어야 하는데요!
발송내역서, 지급 명단 내역, 거래 명세서 등이 필요합니다.
(*단, 모바일 쿠폰의 경우 비과세 유가증권으로 세금 계산서 발행이 안된다는 사실!)
복리후생비 VS 접대비 VS 판매촉진비 / 광고 선전비 헷갈리시나요?
-
직원 선물 → 복리 후생비
-
거래처 선물 → 접대비
-
이벤트 경품 → 판매 촉진비 / 광고 선전비
-
사후 관리
-
발송 수량이 아니라 ‘실제 사용률’로 성과 확인
-
종료 후 설문조사로 다음 캠페인 인사이트 확보
추석 이벤트의 성패는 “예산을 얼마나 쓰느냐”보다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올해는 이벤트가 스트레스가 아닌, 브랜드를 살리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