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품 팀 선정 TOP 3 우선순위 프레임워크

753
0

해당 아티클은 프로덕트랩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https://maily.so/productlab

1. 모든 제품 관리자가 알아야 할 3가지 우선순위 결정 기법

원본 링크 : https://productschool.com/blog/product-fundamentals/prioritization-techniques-product-managers

이미지 클릭 시 링크 이동

✅ 제품 팀에서 우선순위를 정할 때 자주 사용되는 TOP 3 프레임워크

– 제품 팀에게 작업의 우선순위를 잘 정하는 것은 절대적으로 중요해요. 잘 정해진 우선순위는 제한된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할당하고, 기한을 맞추고, 위험을 최소화하고, 팀의 집중도를 유지하고, ROI를 극대화하는 데 도움이 되죠.

– 사실 우선순위를 잘 정하는 것을 결코 쉽지 않은데요, 하지만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이미 전 세계에는 우리보다 앞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은 제품 팀들이 있으니깐요. 오늘은 그들이 우선순위를 잘 정하기 위해 만들어낸, 자주 사용되는 TOP 3 프레임워크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1. The MoSCoW Method

– MoSCoW는 애자일 프로세스에서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이 중요하지 않은지 파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에요. 총 4단계로 우선순위를 구분하고 각 단계별 가이드에 맞춰 제품을 개발해요.

– MUST HAVE : 프로젝트의 성공에 중요한 요구 사항 또는 기능으로, 프로젝트가 성공적인 것으로 간주되기 위해 반드시 구현되어야 합니다. 이는 협상할 수 없으며 우선순위가 가장 높습니다.

– SHOULD HAVE : 중요하지만 필수 기능은 아닌 요구 사항 또는 기능입니다. 연기할 수는 있지만, 필수 항목이 완료된 후 가능한 한 빨리 구현해야 합니다.

– COULD HAVE : 시간과 리소스가 허용되는 경우 구현할 수 있지만 우선순위는 아닙니다.

– WON’T HAVE : 이번 프로젝트에 포함되지 않을 요구 사항 또는 기능입니다. 향후 프로젝트에 고려할 수는 있지만 현재 프로젝트의 우선순위는 아닙니다.

2. RICE Scoring

– RICE Scoring에서 RICE는 Reach, Impact, Confidence, Effort의 앞 글자를 따서 만든 줄임말이에요. RICE Scoring에서 각 단어들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져요.

– Reach(도달 범위) : 제안된 기능이나 프로젝트의 영향을 받을 사용자 또는 고객의 수를 측정합니다. 도달 범위가 높을수록 기능이나 프로젝트가 더 중요하다는 의미입니다.

– Impact(영향력) : 이는 기능이나 프로젝트가 비즈니스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측정합니다. 이는 매출, 사용자 참여도, 고객 만족도 또는 기타 관련 메트릭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영향력이 높을수록 기능이나 프로젝트가 더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 Confidence(자신감) : 이는 팀이 기능이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의 수준을 측정합니다. 이는 기술적 실현 가능성, 사용 가능한 리소스 및 팀 전문 지식과 같은 요소를 기반으로 할 수 있습니다. 자신감이 높을수록 기능이나 프로젝트가 성공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Effort(노력) : 이 항목은 기능 또는 프로젝트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시간, 비용 및 리소스의 양을 측정합니다. 노력이 낮을수록 기능이나 프로젝트의 매력도가 높습니다.

–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해 각 기준은 1~10점 척도로 평가되며, 점수를 합산하여 전체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이에요. 예를 들어, 도달 범위가 10, 영향력이 10, 신뢰도가 10, 노력이 10인 기능은 전체 RICE 점수가 100점((10 x 10 x 10) / 10)이 되죠. 이러한 점수를 기반으로 우선순위를 산정해요.

3. Kano Model

– Kano Model은 고객의 요구와 제품 기능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프레임워크에요. 이 모델은 1980년대에 일본의 연구자인 노리아키 카노가 개발했어요. Kano Model에서는 고객의 니즈와 욕구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해요. 이를 통해 제품 팀은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기능에 집중할 수 있죠.

– Basic Needs or Must-Haves : 이는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기대하는 기본적인 요구 사항입니다. 제품이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하면 고객은 불만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고 해서 반드시 고객 만족이나 충성도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 Performance Needs or More is Better : 이는 고객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능으로 제품 또는 서비스의 품질 또는 양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영역에서 제품의 성능이 우수할수록 고객의 만족도가 높아집니다.

– Excitement Needs or Delighters : 고객의 기대를 뛰어넘는 예상치 못한 기능이나 혁신적인 기능입니다. 이러한 기능은 고객에게 ‘와우’라는 감동을 선사하며 높은 수준의 만족도와 충성도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 팀원들과 이런 이야기를 나눴어요.

– 잘 만들어진 프레임워크는 정말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할 때 중요한 것들을 놓치지 않게 만들어주는 도구라고 생각해요. 현재 저희 팀은 한정된 리소스를 가지고 정말 큰 임팩트를 만들어 내는 것에 몰입하고 있는데요,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우선순위를 잘 정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체감하고 있었어요. 그래서 이번에 새롭게 알게 된 프레임워크들을 바로 업무에 적용해서 사용해 보기로 했답니다.

 프로덕트랩의 더 많은 생각이 궁금하다면?

✅ 프로덕트랩 : https://maily.so/productlab

PRODUCT LAB.
글쓴이

PRODUCT LAB.

매주 IT 업계에서 프로덕트를 만드는 사람들을 위한 인사이트를 전해드려요.

큐레이션된 정보를 전달드립니다. 

합격보상금 100만원

마케팅 채널운영 담당자(5년이상)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에스테틱 제품 해외영업 과, 차장급

피엔에프케어즈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인하우스 마케터 (3년 이상)

링글잉글리시에듀케이션서비스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PB 브랜드 마케터

인티그레이션(메디스트림)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브랜드 마케터 (퍼포,IMC,CRM)

펄스코퍼레이션

상시

합격보상금 100만원

[란시노/신규 기초 화장품 브랜드] 컨텐츠 마케터

온누리커뮤니케이션

상시

출처: 원티드

답글 남기기

PRODUCT-LAB._프로필

PRODUCT LAB.

다른 아티클 보기

🚀 키퍼 테스트: 성과를 내는 조직의 비밀(Netflix 사례 포함)

🚀 진짜 실용적인 제품 만드는 방법 (Stripe 사례 포함)

🚀 시장 점유율 10%의 비결 (Shopify 사례 포함)

아직 구독 전이신가요?
구독하고 더 많은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이름/회사명

마케터에게 제안하기

마케팅, 강연, 출판, 프로젝트 제안을 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