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아티클은 프로덕트랩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maily.so/productlab/posts/414196cb

1. 멍청한 놈 되기

원본 링크 : http://www.paulgraham.com/noob.html

이미지 클릭 시 링크 이동
이미지 클릭 시 링크 이동

✅ 세계적인 VC, Y Combinator의 창업자 폴 그레이엄의 글

– 혹시 일을 하면서 스스로가 멍청하다는 느낌을 얼마나 받고 계시나요? 세계적인 투자자인 폴 그레이엄은 스스로 멍청하다는 것을 자주 느낄수록 더 좋은 상황에 놓여있는 것이라고 말했어요. 얼핏 보면 안 좋은 상황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무지한 영역을 줄여가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죠. 

– 제품 팀에서 일을 한다는 건 끊임없이 스스로를 무지 속으로 밀어 넣는 행위라고 생각해요. 매번 다른 상황을 마주해야 하고, 새로운 기술을 습득해야 하며 극단적인 불확실함 속에서도 스스로를 동기부여 해내야 하죠. 이 글이 매주 새로운 상황 속에 놓이는 프로덕트랩 구독자분들께 조금이라도 힘이 되었으면 합니다.

1. 멍청하다는 느낌과 실제 무지함의 정도는 반비례 관계

– 어렸을 때는 노인들은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보니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 저는 종종 스스로를 멍청이처럼 느끼곤 합니다. 제가 전혀 모르는 새로운 분야에서 일하는 스타트업과 이야기를 나누거나, 잘 모르는 주제에 관한 책을 읽거나, 새로운 나라를 방문할 때 일이 어떻게 진행되는 것인지 모르겠는 경우가 많습니다.

– 스스로를 멍청이처럼 느끼는 것은 유쾌하지 않습니다. ‘멍청하다’라는 말은 결코 칭찬처럼 들리지 않습니다. 하지만 오늘 저는 멍청이가 되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자신이 위치한 지역에서는 다소 멍청이처럼 보일 수 있지만 전 세계를 기준으로 봤을 때는 사실 멍청이가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 예를 들어, 고국에 머무르면 모든 것이 다르게 동작하는 새로운 나라로 이사했을 때보다 스스로를 덜 멍청하다고 느낄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새로운 나라로 이사했을 때 더 많은 것을 아는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멍청하다는 느낌은 느낌일 뿐, 실제 무지함의 정도와는 반비례합니다.

2. 인류가 멍청이처럼 느끼는 것을 싫어했던 이유

– 하지만 스스로를 멍청이처럼 느끼는 것이 사실 좋은 일이라면 우리는 왜 그렇게 느끼는 것을 싫어하는 걸까요? 그러한 부감은 진화론의 측면에서 어떠한 의미가 있는 걸까요?

– 제 생각에 우리가 스스로를 멍청이처럼 느끼는 상황에는 두 가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정말로 무지한 상태이거나,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 있을 때. 우리의 뇌는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상황에서 ‘어서 빨리 상황을 파악해라’라고 명령을 내립니다.

– 인류의 역사를 돌아보면 이는 올바른 사고방식이었습니다. 수렵 및 채집 생활을 하던 시절의 인류의 삶은 그들 나름대로 복잡하기는 했겠지만 오늘만큼 빠르게 변화하지 않았고 현재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여 위험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지금처럼 암호화폐 시장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고민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 따라서 당시에는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기보다는 배고픔 등의 눈앞의 기존 문제를 더 잘 해결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음식이 부족한 세상에서 배고픔을 싫어하듯이 옛날에는 새로운 상황으로 인해 위험에 노출되는, 멍청이처럼 느끼는 상황을 싫어하는 것이 당연했습니다.

3. 스스로를 멍청이처럼 느끼는 것이 더 좋은 이유

– 음식이 너무 많아서 문제가 되는 세상에서, 배고픔을 두려워하는 건 다소 어리석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멍청이처럼 느끼는 상황을 싫어하는 우리의 본능 역시 마찬가지로 다소 어리석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그러한 상황이 다소 불쾌하게 느껴지고 사람들이 때때로 당신을 비웃을 수 있지만, 당신이 스스로를 멍청하다고 자주 느낄수록 사실은 당신에게 더 좋은 상황일 수 있습니다.


✅ 팀원들과 이런 이야기를 나눴어요.

– 저희 팀은 매월 결코 도달하기 쉽지 않은 목표에 도전하고 있는데요, 매번 새로운 상황 속에 던져지다 보니 무지함으로 인해 스스로를 자책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어요. 이 글을 읽으면서 우리 팀이 지금 경험하고 있는 이러한 감정들이 당연하다는 것을 받아들이게 되었고 서로의 고민들에 대해 솔직한 감정들을 터놓으면서 다시 한번 도전할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었어요.

 프로덕트랩의 더 많은 생각이 궁금하다면?

✅ 프로덕트랩 : https://maily.so/product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