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광고주와 국내 광고주를 함께 경험하기도 하고, 한국 브랜드의 글로벌 마케팅을 위해 해외 랩사와 협업하면서 ‘글로벌과 한국은 집중하는 마케팅 지표가 다르구나’를 많이 느꼈어요.
실제로 외국 미디어 플래너로부터, 🧔🏻♂️ “왜 이렇게 숫자만 봐? 브랜드 메시지가 주는 울림이 더 중요하지 않니?”라는 피드백을 받기도 했고요.
이러한 ‘중요 지표’의 차이, 어떻게 다르고 어떤 원인이 있을까요?
🌐 글로벌에서 방점을 찍는 마케팅 지표
Reach & Frequency
Brand Lift, NPS (고객충성도 지표)
Share of Voice
Consumer Sentiment
⏩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에 집중
🇰🇷 한국에서 방점을 찍는 마케팅 지표
ROAS, CPA
전환율, 구매단가
검색 트렌드
버즈량, SNS 언급량
🛒 즉각적인 매출을 높이는 데에 집중
이렇게 다른 이유 중 시장적인 요인은 아마도 이 정도일 것 같아요.
1️⃣ 시장 환경이 글로벌은 이미 경쟁하기에 성숙해있고, 한국은 아직 치열하게 경쟁 중
2️⃣ 소비자가 글로벌은 브랜드 가치를 더 바라본다면, 한국은 실용적 혜택에 집중한다
3️⃣ 디지털 채널이 글로벌은 많이 분산되어 있다면, 한국은 중앙집중되어 있다.
4️⃣ 예산 운영 시 마켓이 큰 글로벌은 바로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장기 투자를 하고,
한국은 단기 성과를 많이 본다.
*또한 제가 한국에서 접한 글로벌 브랜드는 이미 성장한 브랜드인 경우가 많아,
성숙브랜드 vs. 신생 브랜드의 차이도 어느 정도 작용했을 것 같네요.
문화적인 요인도 존재합니다.
🌐 과거-현재-미래로 이어지는 선형적인 시간관 (Rome wasn’t built in a day)
🇰🇷 압축된 성과 과정에서 생긴 빠른 생존 전략
🌐 개인주의 문화로 충성도 점수와 같은 1:1 관계성 측정
🇰🇷 집단 트렌드를 중시하며 버즈량, 커뮤니티 반응 측정
🌐 자아실현을 중시하여 선호도와 같은 태도 변화 중시
🇰🇷 실용성을 중시하여 실제 구매 여부를 중시
🌐 불확실성을 수용하며 장기적인 성과를 기다릴 수 있음
🇰🇷 불확실성을 회피하며 실시간/즉각 성과를 원함
이러한 차이는 오랜 시간 동안 축적되어 빠른 변화는 어렵겠지만, 차이를 인지하고 보완하려는 노력만 있어도 충분해보입니다.
🌐 실행과 트렌드 파악 속도를 높이고, 실제 매출 성과까지 다각화하기
🇰🇷 브랜드 철학과 브랜드 가치 측정 지표를 개발하고, A/B 테스트를 통해 실패로 배우는 문화 장려하기
💬 저의 개인적인 경험과 해석이라 혹시 더하고 싶으신 의견이 있다면 댓글로 부탁드려요! 🙂
😊더 많은 인사이트 구경가기 : 강슬기 링크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