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최종 면접까지 가게 해준 면접 연습 영상
구글, 누구나 한번쯤 꼭 다녀보고 싶은 회사일텐데요. 오래 전부터 면접 기회는 종종 있었지만 1차 면접을 통과하기 어려웠어요.
특히나 저에게 어려웠던 질문은 이런 것이었습니다.
“구글 OOO 서비스를 10x 성장시키려면 어떻게 하시겠어요?”
정말 얼어버렸어요.🧊
‘어떤 획기적인 안을 내야 10배나 성장시킬 수 있는거지?’
‘그런 방법이 있기는 해?’
하다가 아무 말도 못해버리는 거죠.
그러던 어느날 또 다른 자리의 면접을 준비하면서, 구글 HR이 참고 자료로 제공한 영상이 이후 모든 면접에서의 태도를 바꾸어 놓았습니다.
https://lnkd.in/ggdjSdDm
이 영상은 GCA, 즉 General Cognitive Ability (일반 인지 능력) 질문에 어떻게 차근 차근 체계적으로 접근하는지를 자세히 알려주고 있어요. 가상의 미션을 주면서 ‘복잡한 문제를 어떻게 분해하고 사려 깊은 해결책을 제시하는가’를 평가하는 질문이죠.
이 영상에서 제시하는 단계만 따르면 어떤 예상치 못한 질문에도 차근차근 접근할 수 있어요.
➊ 답변 전 잠시 생각하기: “1-2분 정도 생각 후 답변해도 될까요?”라고 해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➋ 명확화 질문하기: 질문을 잘 하는 것도 능력이에요.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적절한 질문을 생각해내서 면접관으로부터 더 많은 정보를 받아냅니다.
예) 어떤 지표 성장을 원하시나요? 현재 사용자는 몇 명 정도일까요? 10배 성장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리소스들은 무엇이 있나요?
➌ 논리적 가정 공유: 불완전한 정보를 바탕으로 합리적 추론하기
예) 이 서비스의 경쟁사는 A사, B사, C사겠네요. 이 곳의 파이를 가져온다고 했을 때 ‘OOO’ 기능에 집중해야겠어요.
➍ 사고 과정 보여주기: 면접관에게 문제 해결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
예) 선진국 시장은 포화 상태이니 신흥 시장에는 OOO기능을 어필하고, 글로벌 시장에는 OOO 기능을 지속 홍보하겠습니다. B2B 뿐 아니라 B2C 시장까지로의 확장을 고려하겠습니다.
➎ 장단점 고려 또는 성공 측정 방법 제시
이렇게까지 답변했을 때 장단점이나 우려 사항에 대한 후속 질문이 이어질 확률이 높은데요. 단점을 타계하기 위한 단계적인 접근과 성공지표에 대해 제시합니다.
➏ 지원 직무와 연결: 가능하면 답변을 지원 역할과 연관지어 설명
혹시 전반적으로 답변한 내용이 현재 면접을 보고 있는 직무와 거리가 있다면, 해당 직무와 관련한 액션 아이템을 강조하며 답변을 마무리합니다.
이 방법을 쓰면 적어도 Deer in the headlights🦌처럼 갑작스러운 상황에 굳어버리는 것이라도 예방할 수 있어요. 그리고 면접관에게 더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한 질문이 오가는 과정에서 친밀감도 쌓고, 얼마나 유연하게 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있는지도 보여줄 수 있고요.
혼자 끙끙 앓는 사람이 아니라 팀과 함께 소통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인지를 평가하기 위해 이런 질문을 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이 영상을 익히고 나서, 적어도 방향이 맞지 않는 답변은 한 적이 있어도, 답을 아예 못하고 굳어버리는 상황은 없었는데요. 운이 좋게 최종 면접을 볼 수 있는 기회까지 갖기도 했습니다. 최종 합격까지 가기에 필요한 무언가는 또 따로 있겠지만요. 😄
여담으로 이 영상에 나오는 직원들이 너무 똑부러져서 근황을 검색해봤는데, 한 분은 너무나도 멋진 인플루언서가 되었더라고요! (@jodiektayl) 저의 롤모델…
여러분도 어떤 면접 질문에도 굳지 않기 위한 노하우가 있으신가요? 댓글로 나눠주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