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아티클은 프로덕트랩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maily.so/productlab/posts/78fd9e10

1. 훌륭한 회의를 운영하기 위한 Google 회장의 8가지 규칙

원본 링크 : https://www.businessinsider.com/googles-rules-for-a-great-meeting-2014-9

이미지 클릭 시 링크 이동
이미지 클릭 시 링크 이동

✅ Google의 전 CEO인 에릭 슈미트(Eric Schmidt)가 직접 밝힌 규칙

– 제품 팀에게 회의는 팀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에요. 잘 진행된다는 가정 하에 회의는 서로의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어요. 빠른 의사결정과 효율적인 의사소통이 중요한 제품 팀은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회의를 위해 항상 노력해야 해요.

– 그래서 오늘은 Google의 전 CEO인 에릭 슈미트(Eric Schmidt)가 직접 밝힌 훌륭한 회의를 운영하기 위한 8가지 규칙에 대한 글을 가져왔어요. 팀원들과 함께 글을 읽고 보다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회의를 위한 대화를 나눠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1. 모든 회의에는 리더가 필요합니다.

– 리더가 없으면 어렵지만 최선인 결정을 내리기보다는 타협하여 결정을 내리게 되어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참석자 모두가 해당 안건에 대해 최종 결정권을 가진 사람이 누구인지 알 수 있도록 명확한 ‘의사 결정자’를 지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회의에는 명확한 목적과 구조가 필요합니다.

– 회의가 예상보다 훨씬 오래 진행되는 것은 목적과 구조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았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최소 24시간 전에 회의를 소집하고, 회의 내용이 적절한지 확인하고, 목표를 설정하고, 참석자를 결정하고, 가능한 경우 의제를 공유해야 합니다.

3. 정보 공유나 브레인스토밍을 위한 회의에도 여전히 회의를 이끄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 그들은 아이디어를 위한 회의라고 해서 느슨하게 진행하면 서류상으로는 재미있는 세션처럼 보였던 회의가 또 다른 시간 낭비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모든 회의에는 리더가 필요하고, 명확한 목적과 구조가 필요하다는 것에는 예외가 없습니다.

4. 꼭 필요한 경우에만 회의를 진행해야 합니다.

– 그들은 모든 회의에는 목적이 있어야 하며, 그 목적이 잘 정의되지 않았거나 회의가 그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면 회의를 없애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습관적으로 정기 회의에 참석하고 있는 느낌이 든다면 회의의 목적을 재정의하거나 아예 그만두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5. 가능한 회의에 8명 이상이 참석하지 않아야 합니다.

– 회의에 참석한 모든 사람이 의견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방관자는 자신이 생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을 낭비하고, 열성적인 참가자가 너무 많으면 대화의 질을 떨어뜨립니다. 회의에 참석하지 않지만 회의 결과를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사람들에게는 회의 결과를 공유하세요.

6. 꼭 필요한 사람만 회의에 참여시킵니다.

– 그들은 고객이나 파트너의 고위 임원과 소규모 미팅을 하려고 회의실에 들어갔는데 회의실이 사람들로 가득 찬 것을 본 적이 많다고 이야기합니다. 구글은 특히 중요한 회의일수록, 회의에 실질적으로 자신이 필요한 경우에만 참석하도록 권장합니다.

7. 시간 제약을 엄격히 준수합니다.

– 회의는 정시에 시작하고 정시에 종료하며, 회의가 끝나면 회의실을 떠나 회의 내용을 정리합니다. 회의가 오래 진행되어야 하는 경우, 적절한 휴식 시간을 일정에 포함하세요. 그리고 회의를 일찍 끝낸다고 해서 남은 시간을 채울 필요는 없습니다. 모두가 빨리 업무에 복귀할수록 좋습니다.

8. 회의에 온전히 참석하세요.

– 앞서 말한 규칙들을 지킨다면 당신은 꼭 필요한 회의에만 참석하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휴대폰이나 노트북으로 이메일을 확인하지 말고 실제로 회의에 온전히 집중해야 합니다. 그들은 이 규칙이 Google에서 가장 지키기 어려운 규칙이라고 말하며, 직원들에게 노트북을 닫으라고 말하는 것을 포기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들은 이 규칙이 여전히 좋은 규칙이라고 말했습니다.


✅ 팀원들과 이런 이야기를 나눴어요.

– 최근 저희 팀은 논의할 사항들이 많아지면서 회의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를 겪고 있었어요. 이 글을 통해 그동안 우리의 회의가 왜 길어질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이유를 찾고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회의를 진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었어요. 이번 주 남은 회의들은 보다 생산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8가지 규칙을 모두 준수하여 진행해 보려고 해요.

 프로덕트랩의 더 많은 생각이 궁금하다면?

✅ 프로덕트랩 : https://maily.so/product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