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픽 러너 여러분! 베트남 인구의 절반 이상이 젊은 20~40대라는 점, 알고 계셨나요? 이 젊은 층은 베트남 경제 성장의 원동력으로 중요한 '마케팅 포인트'로 볼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베트남에서 국내 브랜드들이 눈여겨볼 시장은 도대체 어디일까요? 위픽트레이너 P가 딱 3가지만 Pick☝️ 해보았습니다.
1️⃣베트남 주류에 한류를 더하면?🍻
베트남의 연간 맥주 소비량이 46억리터가 넘는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뿐만 아니라 2022년 기준 맥주 산업의 매출액이 무려 65억 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해요. 맥주의 나라 베트남의 한국의 소주가 지금 점령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식 소맥 문화로 수익을 올리겠다는 마케팅 전략! 바로 'TIGER'입니다.
2️⃣한국만 배달의민족이 아니었네💦
배달의민족은 국내 배달 업계에 탑이라고 불릴 수 있을 만큼 성공의 신화를 기록한 브랜드인데요. 이런 배달의민족이 베트남 진출 4년 만에 베트남 배달 시장에서 무려 3위를 차지했어요. 베트남에서 배달의민족이 성공한 요인은 뭘까요? 제가 위에서 언급했던 베트남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바로 그 젊은 층을 겨냥한 것이죠! 그들이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서비스를 기획하고, 국내에서도 인기를 끌었던 배달의민족만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톡톡 튀는 배민 스타일의 B급 마케팅 전략 덕분이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3️⃣베트남의 입맛도 바꾼 K-식품🌶️
아워홈, 롯데 GRS, 삼양식품 등 국내 대표 식품 브랜드들도 베트남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아워홈은 베트남에만 총 45개점을 갖고 있으며, 224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죠. 뿐만 아니라 한국 브랜드 ‘롯데리아’는 베트남에서 패스트푸드 브랜드 1위를 차지하고 있어요. 베트남이 괜히 ‘포스트 차이나’라고 불리는 것이 아니겠죠?
-
예전엔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라고 이야기 했지만 이젠 달라졌어요! 이젠 어느 기업이 현지의 특색과 현지 사람들을 얼마나 잘 담아내고 잘 파악하느냐가 관건이라고 생각해요. 그럼 $%name%$의 브랜드에서도 베트남 공략해보는 것 어떠신가요?🤺
누구나 그렇듯 저에게도 여러 가지 습관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직업적으로 관련이 있는 특별한 습관이 있습니다. 바로일상에서 만나는 제품, 서비스, 브랜드에 대해 분석하고 마케팅의 관점에서 부분적으로 개선점을 찾는 습관입니다.
피곤한 습관처럼 보일 수도 있겠지만, 직업과 관련이 많기 때문에 저는 좋은 습관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런저런 다양한 분석들이, 마케팅이 직업인 저에게는 장기적으로 도움이 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경력과 마케팅에 관련된 다양한 경험이 쌓여서 성장하고 그만큼 제 시야가 넓어지면 그 짧은 시간 안에 조금 더 많은 것을 분석해 내는 것 같습니다.
어제는 커피 사피엔스라는 프랜차이즈 카페에서 커피가 나올 때까지 기다리면서 이곳저곳을 구경하며 분석해 봤습니다.
국내 OTT 위기론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의 독주가 계속되는 가운데, 늘어나는 적자 규모를 감당하기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최근에는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설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어떻게든 덩치를 키워, 넷플릭스에 대항해 보겠다는 겁니다.
그런데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빠르게 성장하는 국내 OTT 사업자가 있으니, 바로 쿠팡플레이입니다. 한동안 쿠팡플레이의 콘텐츠 풀은 빈약했지만, SNL 코리아 리부트 시즌을 통해 점차 입소문을 타기 시작하더니, 손흥민과 축구 국가대표 경기 독점 중계 등으로 본격적인 성장 가도를 달리기 시작합니다.해외 유명 축구 클럽을 초대하는 대형 스포츠 이벤트, 쿠팡플레이 시리즈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엄청난 흥행에 성공하였고요. 쿠팡플레이의 MAU는 진작 웨이브를 추월한데 이어, 2위 사업자 티빙의 자리마저 넘보고 있습니다.
영화, 예능, 드라마, 게임, 다큐멘터리, 뉴스 등 우리는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스마트폰으로 즐기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TV라는 매체를 통해서 주로 즐기던 영상 콘텐츠가, 디지털 기술을 발달로 이제는 우리 일상 곳곳에서 자리하게 됐습니다.
마케터에게 이것이 의미하는 바가 뭘까요? 고객 여정에 맞는 동영상 콘텐츠를 활용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구매를 위한 일련의 과정에서 고객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콘텐츠가 동영상 콘텐츠가 되고 있기 때문에, 고객 여정에 맞는 동영상 콘텐츠는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을 위해 중요한 도구가 되고 있습니다. 그 비중은 앞으로 점점 더 커지고 중요해질 것입니다.
그럼 고객 여정을 동영상 마케팅에 접목한다면 어떻게 구상할 수 있을까요? WISTIA는 ‘1단계 Discover, 2단계 Engage, 3단계 Convert’로 고객 여정을 제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