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 🌽콘.스.프 영양성분


이주의 기획 상품 #208

귀여움으로 승부한다! 캐릭터 마케팅 트렌드

채널A의 금쪽이 캐릭터(출처=SBS 뉴스)
채널A의 금쪽이 캐릭터(출처=SBS 뉴스)

최근 콘텐츠 제작을 주력으로 하지 않는 다양한 업계의 기업들이 자체 캐릭터를 선보이며 적극적인 IP(지식재산) 사업을 펼치고 있어요. 귀엽고 친근한 캐릭터로 소비자들의 호감을 사는 이른바 ‘큐렌들리(Cute + Friendly)’ 전략으로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죠.

두 마리 토끼 잡는 큐렌들리 전략

과거에는 캐릭터가 브랜드의 친밀도를 높이는 부가적인 수단으로 여겨졌지만, 이제는 기업의 주요 수익원으로 자리 잡으며 발전하고 있는데요.

광화문 광장에 마련된 카카오프렌즈 캐릭터 포토존(출처=조선일보)
광화문 광장에 마련된 카카오프렌즈 캐릭터 포토존(출처=조선일보)

실제로 카카오프렌즈 캐릭터를 통한 매출은 2021년 기준 1조원이 넘은 바 있습니다.

캐릭터를 활용한 기업들의 노력은, 성인이지만 동심의 분위기와 감성을 간직하고 싶은 ‘키덜트(kid + adult)’족과, 소비 속에서 재미를 추구하는 ‘펀슈머(fun + consumer)’의 니즈를 복합적으로 만족시키고 있어요.

기업들은 어떤 캐릭터들로 소비자에게 다가가고 있을까요?

업계별 자체 캐릭터 제작 사례

(출처=비즈월드)
(출처=비즈월드)

하이트진로의 ‘두꺼비’는 단순한 소주 마스코트에서 인기 캐릭터로 성장해 관련 굿즈가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특히 캐릭터를 전면에 내세운 SNS 채널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데, 유머러스하고 트렌디한 콘텐츠로 화제가 되고 있죠.

(출처=LG유플러스 공식블로그)
(출처=LG유플러스 공식블로그)

LG유플러스의 ‘무너’는 2021년부터 올해까지 4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캐릭터 IP 사업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SNS 팔로워 중 65%가 MZ세대일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죠.

(출처=대웅제약)
(출처=대웅제약)

대웅제약은 친근한 이미지로 대중에게 다가갈 수 있는 동물 캐릭터 ‘아르미’를 자체 개발해 선보였어요. 취업 준비생으로 캐릭터를 설정한 덕에 폭넓은 공감을 얻고, 유튜브 평균 조회수 2만건 이상을 기록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었습니다.

(출처=한국기자협회)
(출처=한국기자협회)

지난 7월 개국 13년 만에 리브랜딩을 진행하며 ‘시청자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을 대변하는 콘텐츠 플랫폼’이라는 새 아이덴티티를 공개한 채널A. 대표 캐릭터인 ‘금쪽이’와 ‘라비’ 등을 캐릭터 라이선싱 페어에 선보이며 캐릭터 자체에 대한 사업화까지 진행하는 등 또 다른 시장 개척을 꾀하기도 했죠.

(출처=제주항공)
(출처=제주항공)

LCC(저가항공사) 중 가장 규모가 큰 제주항공은 제주남방큰돌고래를 소재로 ‘제코’라는 캐릭터를 만들었어요. 최근에는 해당 캐릭터를 활용한 배경화면과 디지털 행운 카드를 선보여 MZ세대들과 꾸준히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MZ 겨냥 캐릭터 콜라보의 유행

기업 자체 캐릭터 뿐만 아니라 타 브랜드 캐릭터와의 협업을 통해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는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또한 소비자들의 큰 호응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특히 인기 있는 영화, 애니메이션 등의 캐릭터와 손잡고 다양한 굿즈나 한정판 제품 및 서비스를 출시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중이에요.

1. 삼성전자가 쿵야레스토랑즈 캐릭터를 활용해 한정판 갤럭시 테마 제공 이벤트 진행

2. CU가 영화 인사이드아웃 캐릭터를 활용해 교통카드 디자인

3. 두산 베어스가 망그러진 곰 캐릭터를 활용한 한정판 키링 판매 및 현장 이벤트 진행

이러한 콜라보레이션은 기업과 캐릭터 간의 긍정적인 시너지와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하는 한정판 제품이나 이벤트로 소비자들에게 신선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더 나아가 구매 욕구를 자극해 팬덤을 더욱 공고화하는 데 기여하기도 하죠.

이처럼 캐릭터 마케팅은 단순 유행을 넘어서 소비자와의 소통 창구이자 기업의 주요 수익원으로써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습니다.


오늘의 기획 상품 | 세 줄 요약! 😉

✔️ 소비자의 여러 니즈를 만족시키며 기업의 주요 수익원으로 자리 잡고 있는 캐릭터 마케팅

✔️ 다양한 업계 내 기업들의 자체 캐릭터 개발 및 적응 사례

✔️ 소비자들에게 신선한 경험을 제공해 구매욕을 자극하여 팬덤 공고화에 기여하는 캐릭터 콜라보

이주의 신상품 #208

📺국내 OTT | 👨‍🎨뱅크시 | 🇰🇷한국-디즈니플러스 | 🎭콘텐츠 투어리즘 | 🤑AI 유료화

문화 콘텐츠 관련 새로운 이슈들을 짧게 요약, 정리해봤어요. 기사 전문은 제목을 클릭하세요.

📺스포츠로 넷플릭스 따라잡는 국내 OTT

  • 여전히 1위이지만 구독료 인상 및 볼거리 부족으로 인해 작년 상반기 대비 4%p 낮아진 넷플릭스 구독률
  • 스포츠 중계와 오리지널 드라마 및 예능 콘텐츠 확대로 입지를 넓히고 있는 국내 OTT
  • 작년 상반기 대비 쿠팡플레이는 구독률 6%p 상승, 티빙은 구독률 4%p 상승

👨‍🎨또 다시 출몰한 ‘뱅크시’ 골목 벽화

  • 지난 5일부터 영국 런던 곳곳에 동물 시리즈 벽화 작품을 남기고 있는 ‘얼굴 없는 예술가’ 뱅크시
  • 염소, 코끼리, 원숭이, 늑대, 펠리컨, 고양이가 차례로 등장했고, 7번째 작품은 경찰 박스에 물고기 떼를 그려 마치 수족관인 것처럼 표현
  • 시티오브런던은 해당 작품에 대한 보존안 검토 중

🇰🇷한국은 콘텐츠 핵심시장?!

  • “한국=콘텐츠 핵심 시장” 언급한 에릭 슈라이어 월트디즈니컴퍼니 글로벌 오리지널 TV 전략 부문 사장
  • 한국 콘텐츠가 아시아 뿐만 아니라 중남미 등 전세계에서 큰 인기를 끌 정도로 제작 및 스토리텔링 수준이 뛰어나다고 강조
  • 국내외에서 큰 인기를 끈 ‘무빙’의 사례를 들며, 최정상급 배우들이 출연하는 콘텐츠 제작을 위한 투자 규모 확대 계획 언급

🎭K-드라마 + 신기술 = 콘텐츠 투어리즘! “K-드라마 스포트라이트”

  • 서울 종로구 갤러리광화에서 오는 11월까지 개최되는 “K-드라마 스포트라이트” 전시
  • 국내 인기 드라마 속 다양한 소재에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등의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관광 경험을 제공
  • 인터랙티브 기술로 구현한 포토존, 주연배우 이미지를 적용한 AI 아바타 만들기 등 총 12개의 테마 체험 가능

🤑AI 이용 공짜 시대 끝나나?!

  • 삼성전자의 Galaxy AI, 애플의 애플 인텔리전스 등 AI 스마트폰 시장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보도된 “애플의 AI 유료화 전망”
  • 애플의 AI 유료화 전망은 빅테크의 가장 큰 고민인 AI 수익성 딜레마를 구독료로 풀고자 함을 의미
  • “애플이 생성형 AI 구독 모델을 정착시키면 너도나도 AI 유료화를 시도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존재

MD 추천 #208

🥐파리 올림픽 개막식 톺아보기

유튜브 ‘조승연의 탐구생활’

이토록 자세하고 친절한 해석은 없었다?!

개막식부터 부정 평가 가득했던 2024 파리 올림픽! 말도 많고, 탈도 많았지만 톰 크루즈의 폐막식 등장과 함께 성황리에 막을 내렸습니다.

올림픽의 열기가 가시기 전에, 시작부터 논란의 중심이었던 개막식에 대한 완벽 해석! 함께 보고 가시죠!

더 다양한 트렌드를 맛보고 싶다면? 👉 https://maily.so/munhwa.cv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