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12일 화요일

#220 🌽콘.스.프 영양성분


이주의 기획 상품 #220

미리 메리 크리스마스?! 연말 백화점 트렌드🎄

신세계, 현대, 롯데백화점(이하 백화점 3사)의 크리스마스 장식 대전이 전년 대비 일주일 이상 빠르게 시작됐어요. 크리스마스가 2달 이상 남은 시점부터 연말 준비에 총력을 기울인 것이죠.

🎅 11월의 크리스마스?!

최근 몇 년 동안 백화점 3사는 크리스마스 준비에만 집중하는 전담팀을 둘 정도로 크리스마스 마케팅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출처=연합뉴스)
(출처=연합뉴스)

크리스마스 연출에 심혈을 기울이는 이유는 연말 고객 유입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인데요. 백화점의 화려한 장식들은 ‘인증샷 명소’로 알려지며 방문 고객 수를 2배 이상, 구매 고객 수를 50% 이상 증가시킬 정도로 그 효과가 상당합니다.

더현대서울의 경우, 이번 크리스마스 장식 오픈 이후 첫 주말 동안 일평균 약 6,000명의 고객이 방문했어요. 신세계백화점 본점의 경우, 이달 크리스마스 점등 이후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17.6% 증가했으며, 구매 고객 수는 10.4% 늘어났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롯데백화점 기준, 2022년까지만 해도 11월 중순에 시작되었던 크리스마스 점등이 점차 앞당겨져 올해는 백화점 3사 모두 11월 1일에 점등을 시작했습니다.

🏬백화점 3사 크리스마스 대전

빠르게 공개한 올해 백화점 3사의 크리스마스 대전 콘셉트는 어떨까요?

🟥 신세계백화점

신세계백화점은 명동 본점 외벽에 농구장 3개 크기의 초대형 디지털 사이니지인 ‘신세계스퀘어’를 새롭게 선보였어요.

(출처=신세계백화점 뉴스룸)
(출처=신세계백화점 뉴스룸)

이는 중구청과의 협력으로 조성된 K스퀘어의 일환으로,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풍부한 예술 경험을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발전시키려는 신세계의 구상이 담겨 있습니다. 신세계는 크리스마스 시즌에만 운영하던 디지털 사이니지를 상시 운영으로 전환하여, 앞으로 K-컬처와 글로벌 OTT 아트웍 등 다양한 콘텐츠를 매달 선보일 예정이에요.

🟩 현대백화점

현대백화점은 올해 3사 중 가장 먼저 크리스마스 장식 테마를 공개했습니다.

(출처=현대백화점그룹 공식 홈페이지)
(출처=현대백화점그룹 공식 홈페이지)

여의도 더현대서울 5층 사운즈포레스트에는 ‘아기곰 해리와 소녀가 움직이는 대극장을 찾아 떠나는 여정’을 테마로 한 장식을 설치했는데요. 지난 24일 1차 입장 사전 예약에 약 3만 명의 동시 접속자가 몰려 14분 만에 매진되기도 했죠.

(출처=커넥트 현대)
(출처=커넥트 현대)

더현대서울뿐만 아니라 압구정 본점, 판교점 등 전국 15개 매장과 커넥트현대 부산에서도 ‘움직이는 대극장’이라는 콘셉트를 적용한 크리스마스 장식을 선보입니다.

⬛ 롯데백화점

롯데백화점은 이번 크리스마스 테마를 ‘원더풀 쇼타임’으로 선정했어요. 본점 앞을 네온 사인을 활용한 장식으로 꾸며 1900년대 브로드웨이 뮤지컬 극장을 걷는 듯한 분위기를 연출했습니다.

(출처=롯데쇼핑)
(출처=롯데쇼핑)

본점 앞 거리에서는 올해 처음으로 외벽 라이팅 쇼가 진행되는데요. 3개의 대형 쇼윈도와 2만여 개의 LED 전구를 활용해 맞은편에서 롯데백화점을 배경으로 재즈와 서커스 등 다양한 공연을 선보일 예정이에요.

🤔이유있는 미리 크리스마스

(출처=뉴스웨이)
(출처=뉴스웨이)

일각에서는 크리스마스 시즌을 앞당기는 것을 ‘침체된 내수 시장을 활성화 움직임’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백화점 3사의 실적 발표에 따르면 3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대비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증권업계에서는 9월까지 이어진 더위, 긴 추석 연휴로 인한 해외여행 수요 증가, 핼러윈 마케팅에 대한 시기상조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국내 소비가 기대만큼 진작되지 않았다고 분석했습니다.

현재로서는 소비 심리를 반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크리스마스 마케팅이 가장 효과적인 셈이죠.

다른 한편, 백화점 3사가 대규모 매장 장식에 투자하는 이유를 ‘온라인 시장의 성장’에서 찾는 견해도 있습니다. 지난해 온라인 유통 매출이 처음으로 오프라인을 넘어섰고, 올 9월 기준 온라인 매출은 15.7% 증가한 반면 오프라인 매출은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비자들을 오프라인 매장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대규모 장식은 백화점 업계의 주요 전략으로 부상한 것이죠.

내수 소비 침체와 온라인 업체와의 경쟁 속에서, 백화점 3사의 다양한 전략 모색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입니다.


오늘의 기획 상품 | 세 줄 요약! 😉

✔️ 해를 거듭할수록 앞당겨지는 백화점 3사의 크리스마스 장식 공개 시점

✔️ 비슷한듯 다른 백화점 3사의 유니크한 크리스마스 대전 콘셉트

✔️ 침체된 내수 소비와 온라인 매출 확대에 대응하는 돌파구로써의 크리스마스 마케팅

이주의 신상품 #220

🕺뮤지컬 | 📖카카오 만화책 | 🔴티빙 | 📈듀프소비 | 🎒청소년 보호

문화 콘텐츠 관련 새로운 이슈들을 짧게 요약, 정리해봤어요. 기사 전문은 제목을 클릭하세요.

🕺”비싸도 본다” 뮤지컬 ‘역대급 라인업’ 전쟁

  • 관객 연령이 10대로까지 내려가는 등 중년을 비롯한 젊은 세대에게까지 인기 끌며 “역대급 호황” 맞이한 한국 뮤지컬 시장
  • 디즈니 ‘알라딘’의 국내 초연, ‘지킬 앤 하이드’, ‘마타하리’, ‘명성황후’ 등의 잇다른 개막 소식

📖“모두가 웹툰을 외칠때 역으로 갔다”…미국에서 ‘만화책’으로 대박낸 카카오

  • 반년만에 약 6만부 팔려나간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북미 법인이 발간한 웹툰 ‘이태원 클라쓰’의 단행본
  • 카카오가 미국에서 전개하는 IP의 생태계를 종이책으로도 확대한 것은 아직 출판시장이 큰 현지 상황에 맞춰 빠르게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포석
  • 수익성 낮은 유럽, 인도네시아, 대만 시장 철수 후 글로벌 ‘빅 2’ 시장인 미국과 일본에 주력할 전망

🔴티빙 월간 이용자 800만 돌파…야구·정년이 덕에 웃었다

  • 티빙 월간활성이용자(MAU)가 국내 OTT 최초로 800만 명을 돌파하며 1위 넷플릭스와의 격차가 절반 가까이 좁혀져
  • 국내 프로야구 온라인 독점 중계와 ‘정년이’ 등 모기업 CJ ENM의 드라마까지 흥행
  • 기본 요금제 대비 저렴한 광고 요금제와 드라마 ‘비밀의 숲’ 스핀오프 ‘좋거나 나쁜 동재’ 등 오리지널 콘텐츠가 유입 효과 극대화

📈”샤넬 느낌 다이소”?! 명품 매출 반토막인데 전성시대 맞은 “듀프소비”

  • 고물가로 개인 소비력이 약화하면서 단순 위조품을 찾는 것이 아닌 가성비가 높은 대안 제품 구입으로 만족도를 높이는 ‘듀프(dupe)’ 소비 경향 증대
  • 유니클로가 고가 브랜드나 유명 디자이너와 협업해 내놓은 한정판 제품 등이 그 예시
  • 품질을 기본 전제로 소비자가 자신만의 기준을 정한 후 지갑을 여는 것이라는 분석

🎒청소년 보호에 힘 쓰는 SNS·게임 회사들…규제 강화

  • 10대들의 중독 문제를 예방하고 선정, 폭력적 콘텐츠 노출 등 부작용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규제 강화하는 글로벌 SNS 기업들
  • 로블록스는 13세 미만 청소년의 온라인 대화 공간 ‘소셜 행아웃’ 접속 제한
  • 메타는 청소년의 인스타그램 이용을 제한하는 전용 계정 부분 도입
  • 틱톡은 18세 미만 사용자의 이용시간 60분으로 제한

MD 추천 #220

방구석에서 즐기는 더현대 크리스마스 빌리지

https://www.youtube.com/embed/aUfauEZAgOw유튜브 ’14F 일사에프’

해를 거듭할수록 업그레이드 되는 더현대 크리스마스 빌리지! …근데 이제 방구석에서 즐기는ㅎㅎ

방구석이 아니라 진짜로 가보고 싶으시다면! 곧 3차 사전 예약이 열린다고 하니 기회를 잡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문화편의점은 점주님들의 이야기가 듣고 싶어요.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건의사항 >>

더 다양한 트렌드를 맛보고 싶다면? 👉 https://maily.so/munhwa.cv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