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사 모객부터 운영까지, 올인원 행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벤트 플랫폼 이벤터스입니다. 행사의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ROI'를 주로 사용하는데요. ROI 계산을 통해, 행사를 통한 금전적 성과를 단순하고 명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따라서 매출이 1순위 목표가 아닌 행사, 다양한 목표 가치를 가진 행사의 성과 측정은 어렵습니다. 이러한 ROI를 대체 · 보완할 수 있는 행사 성과 측정 지표로서 'ROO' 프레임워크에 대해 소개합니다.
📝 콘텐츠 요약
ROI와 ROO의 차이점
ROO 측정이 필요한 행사 종류
ROO 측정 방법 (+실제 계산 예시)
1. ROI와 ROO 지표의 차이점?
ROI (Return on Investment)
ROI는 '투자 대비 수익률'을 뜻합니다. 행사로 벌어들인 전체 매출과 행사를 준비하는데 든 비용을 비교하여 계산할 수 있어요.
ROI = (투자 수익 - 투자 비용) / 투자 비용 x 100
ROO (Return on Objectives)
ROO는 사전에 설정한 우리 행사의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지를 수치로 측정하는 지표예요. 매출뿐 아니라 행사의 여러 목표를 세우고, 목표별 가중치를 부여해 최종 달성율을 판단합니다.
ROO = 달성치 / 목표치 × 100
2. ROO 측정이 필요한 행사 종류
ROO는 다양한 국제의 MICE 협회, 글로벌 이벤트 기업들이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하단과 같은 행사의 유형을 개최하고 있다면, ROO를 통한 행사 성과 측정에 적합해요.
브랜드 캠페인 : 브랜드 인지도, SNS 언급량, 언론 노출 같은 이미지 제고가 목적
공공 · 학술 행사 : 정책 확산, 지식 공유, 교육 효과 등 비재무적 가치가 목적
B2B 전시 · 세미나 : 당장 매출이 나오지 않아도 리드 확보, 미팅 매칭, 파트너십 형성이 목적
기업 내부 행사 : 조직 몰입도, 직원 만족도, 교육 이수율처럼 조직문화 개선이 목적
3. ROO 지표 측정 방법
목표를 세우고 계산하는 방법까지 총 3단계에 걸쳐 ROO를 손쉽게 측정해 볼 수 있어요.
1단계: SMART 목표 설정
5가지의 기준에 맞춰 목표 달성에 필요한 정량적이고 구체적인 목표를 정합니다.

productfolio- Specific (구체적)
Measurable(측정 가능)
Achievable (달성 가능): 전년도 지표 대비 성장 가능한 수준 설정
Relevant (관련성): 행사 목적과 직접 연결
Time-bound (기간 기반): 행사 종료 후 1개월 내 등
목표 예시: 매출, 신규 리드 200명 확보, 언론 보도 10건, 학습 효과 등
2단계: 목표 달성률 계산
하단의 공식에 맞춰 달성률을 최종 계산합니다.
ROO = 달성치 / 목표치 × 100
3단계: 종합 점수화
목표가 여러 개일 경우, 가중치를 부여해 합산하여 최종 ROO를 도출합니다.
4. ROO 지표 실제 계산하기
마지막으로, 동일한 행사가 ROO와 ROI 측정에 따라 어떻게 다른 결과를 도출하는지 예시를 통해 확인해 볼게요.
📝 행사 예시
행사 유형: B2B 세일즈 전시회
행사 비용: 1억 원
행사 매출: 1억 3천만 원
1️⃣ ROI를 계산하면?
(1억 3천–1억) / 1억 × 100% = 30%
➡️ 전체 매출에서 비용을 뺀 이번 행사의 ROI는 30%입니다
2️⃣ ROO를 계산하면?
기존에 설정한 목표
매출 1억 원 달성 (가중치 40%)
신규 리드 200명 (30%)
참가자 만족도 90점 이상 (20%)
언론 보도 10건 이상 (10%)
실제 달성한 수치 (달성치/목표치 X 100)
매출: 1억 3천만 원 → 130% 달성
신규 리드: 220명 → 110% 달성
참가자 만족도: 96점 → 107% 달성
언론 보도: 15건 → 150% 달성
최종 계산 시 ➡️ (130×0.4) + (110×0.3) + (107×0.2) + (150×0.1) = 121.4
📝 결과 인사이트
행사의 ROI는 30%에 그치지만, 행사의 다양한 목표를 고려한 ROO를 계산 시 121% 라는 높은 행사 성과가 나왔습니다.
이렇게 행사 성과 측정 시 ROO를 함께 측정하여, 행사의 목표치에 얼마나 가까운 성과를 이루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