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5일 화요일

#254 🌽콘.스.프 영양성분

첨부 이미지

이주의 기획 상품 #254

🤩 키덜트 홀릭! 팝마트의 글로벌 급성장 스토리

(출처 = 팝마트)

(출처 = 팝마트)

요즘 SNS를 보면 자꾸 등장하는 키링이 있죠. 바로 ‘뾰족한 귀, 둥근 몸통, 날카로운 이빨’이 특징인 라부부(Labubu)인데요.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과열된 리셀 시장까지 형성하기에 이르렀습니다. 라부부의 정체는 무엇이고, 도대체 어디서부터 이 트렌드가 시작된 것인지 오늘 [🌽콘.스.프]에서 낱낱이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 팝마트를 알아야 라부부가 보인다!

(출처 = 팝마트)

(출처 = 팝마트)

라부부 이야기를 하려면 ‘팝마트’ 이야기가 빠질 수 없는데요. 팝마트는 2010년 중국 베이징에서 시작된 글로벌 아트토이 브랜드입니다. 초기에는 라이선스 기반 캐릭터 굿즈 편집숍으로 디즈니, 마블, 산리오 등 해외 유명 캐릭터 굿즈를 큐레이션하며 판매했습니다. 그러나 2015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자체 IP 확보하는 것에 착수했습니다. 디자이너와의 협업을 통해 몰리(Molly), 라부부(Labubu) 등의 자체 캐릭터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2016년부터는 블라인드박스 포맷을 도입하기 시작하며 본격적인 수익 모델 전환 및 팬덤 형성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 블라인드 박스(Blind Box)란? 내용물을 알 수 없는 포장 상태로 판매되는 상품을 의미합니다. 구매자가 어떤 상품을 얻게 될지 상자를 열어보기 전까지 알 수 없다는 점이 특징이며, 이러한 요소가 소비자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수집 욕구를 자극합니다. 주로 장난감, 피규어, 문구류 등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팝마트는 2020년 12월 홍콩 증시에 상장했습니다. 상장 당시 코로나 등으로 주춤하는듯 보였으나, 올해 시가총액 3000억 홍콩달러(한화 약 52조 9,200억 원)를 돌파하며 상장 이후 300% 가량 상승하는 저력을 보여줬습니다. 팝마트의 가파른 상승세에는 글로벌 팬덤 형성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30여개국에 500개가 넘는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2024년 해외 매출 비중은 전체의 약 40%를 기록하였습니다. 

(출처 = 팝마트)

(출처 = 팝마트)

팝마트는 초기에는 라이선스 상품 유통에서 시작했지만, 2015년 이후 자체 IP 기반을 확장하여 현재는 IP와 블라인드박스를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는 아트토이 브랜드로 성장하였습니다. 

🧸 라부부는 어떻게 없어서 못 파는 키링이 되었을까

(출처 = '카싱룽' 인스타그램)

(출처 = ‘카싱룽’ 인스타그램)

라부부의 탄생은 2015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라부부는 홍콩 출신 아티스트 카싱 룽(Kasing Lung)이 발표한 이야기 시리즈 <The Monsters>에 등장하는 캐릭터인데요. 북유럽 신화에 영감을 받아 제작된 이 ‘몬스터 엘프’는 뾰족한 귀, 둥근 몸통, 뾰족한 이빨, 복슬복슬한 털로 이루어진 외모를 지녔습니다. 2019년 팝마트는 라부부를 정식 출시하며 본격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했습니다. 출시 초기에는 중국 내 코어 팬층을 확립했으며, 이후 셀럽들의 SNS에 라부부 키링이 조금씩 등장하며 글로벌적인 팬층까지 확장하게 되었습니다.

(출처 = '블랙핑크 로제, 리사' 인스타그램)

(출처 = ‘블랙핑크 로제, 리사’ 인스타그램)

특히 다수의 유명 인사들이 SNS에 라부부를 인증한 것이 세계적 인기를 견인하는 것에 크게 작용했습니다. 블랙핑크 로제, 리사, 데이비드 베컴, 두아 리파, 리한나, 태국 왕실 인사 등 글로벌 셀럽들이 SNS에 라부부를 등장시킨 것인데요. 명품백과 라부부를 매치한 모습이 화제가 되며 패션 액세서리로도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라부부는 전 세계적인 수집 현상을 일으켰으며, 품절대란을 넘어 리셀대란을 일으키게 되었습니다. 상자를 열기 전까지 어떤 인형이 들어있는지 알 수 없는 ‘블라인드 박스’의 특징 때문일까요. 그 희소성 때문에 리셀가는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안전사고 우려로 라부부 국내 오프라인 판매가 중단되자 리셀가는 더 오르고 있습니다. 정가 2-3만 원 대의 키링이 수십만 원, 많게는 120만 원이 넘게 재판매되는 등 굉장히 높게 가격이 책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 세계에 한 점 뿐인 130cm의 청록색 라부부 인형은 지난 6월 한화 약 2억 원이 넘게 낙찰되기도 했습니다. 

🎯 라부부, 키덜트를 집중공략하다

라부부가 본격적으로 인기를 끌었던 것은 2023년 즈음하여 입니다. 한국에서는 올해 유독 주목을 받은 탓에 ‘반짝인기’라 생각할 수도 있겠으나 라부부와 팝마트의 인기는 꾸준히 지속되어 온 편입니다. 이러한 인기는 키덜트 열풍과도 연결지어 생각해 볼 수 있겠는데요. 키즈 소비층을 중심으로 시장을 이끌고 있는 티니핑과 달리, 라부부의 소비층은 어른 소비층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키덜트(Kidult)란? Kid(어린이)와 Adult(성인)의 합성어로 다 자란 이후에도 자신의 어린 시절 문화나 놀이, 감성 등을 추구하는 삶을 가리킨다.

키덜트를 공략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캐릭터 그 자체의 매력을 넘어 복합적인 요소를 통해 소비심리를 자극할 수 있어야 하는데요. 라부부는 이를 적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1️⃣ 희소성 중심의 소비 구조

라부부는 블라인드박스 형태로 판매되어 ‘랜덤성’ 요소가 크게 작동합니다. 이는 상품의 희소성을 극대화하며 수집 욕구를 자극합니다.

2️⃣ 셀럽 바이럴이 자극하는 소비 욕구

세분화된 취향과 팬덤이 존재하는 시대지만 여전히 유명인의 영향력은 무시할 수 없습니다. 셀럽 바이럴은 소비자들의 모방 소비 심리를 촉진시켰습니다.

3️⃣ 나만의 ㅇㅇㅇ, 커스텀이 가능한 형태

몇 해 전부터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에 자신의 취향을 반영해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경제 모델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라부부는 ‘가방 꾸미기’ 열풍과 결합해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커스터마이징하고, 패션의 일부로 소화할 수 있는 일종의 콘텐츠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기획 상품 | 세 줄 요약! 😉

✔️ 라부부는 2015년 홍콩 출신 아티스트 ‘카싱 룽’에 의해 탄생한 캐릭터로, 2019년 팝마트에서 정식 출시하여 현재까지 글로벌적 인기를 끌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품절대란을 넘어 리셀대란을 일으키고 있음

✔️ 팝마트는 라부부를 탄생시킨 아트토이 브랜드로, 중국 베이징에 기반을 두고 2010년 시작되었으며, 2015년부터는 자체 IP를 확보하였으며 시가총액 3000억 홍콩달러를 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함

✔️ 라부부는 희소성, 커스터마이징 등 키덜트의 소비심리를 공략하는 특징을 충분히 가지고 있어

(⚡️’s view) 

‘라부부는 도대체 왜 인기인 것인가, 거품인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있었는데 이번 뉴스레터를 정리하며 그 인기 요인에 대해 수긍하게 되었어요. 단순히 운이 좋게 반짝 인기를 얻게 되었다기 보다는 키덜트라는 분명한 타겟층을 설정하여 접근한 것이 성공 요인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첨부 이미지

이주의 신상품 #254

👑킹오브킹스 | 📚AI-신간 | 🇰🇷한국-AI | 🍎애플-폴더블 | 🎬부국제-박찬욱

문화 콘텐츠 관련 새로운 이슈들을 짧게 요약, 정리해봤어요. 기사 전문은 제목을 클릭하세요.

👑킹 오브 킹스 누적 관객 100만명 돌파

  • 애니메이션 ‘킹 오브 킹스’ 누적 관객 101만명 돌파하며, 올해 국내 개봉 애니메이션 흥행 1위 등극, 역대 한국 애니메이션 순위 4위 기록
  • ‘킹 오브 킹스’는 영국 작가 찰스 디킨스가 아들 월터와 함께 2000년 전 이야기 속으로 떠나는 여행을 그린 애니메이션으로, 관객 호평과 함께 장기 흥행으로 이어지고 있어

📚AI 열풍… 상반기에만 1197 신간

  • 올해 상반기 서점에 입고된 AI 관련 신간은 총 1197종으로 작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치
  • 출판계 AI 열풍은 2022년 말 챗GPT 등장을 기점으로 본격화 되었으며, 인문학, 경제경영, 기술담론, 실용서 등 그 영역이 점차 확장되고 있어

🇰🇷한국 ‘소버린 AI’ 만들 국가대표 5팀 뽑았다

  •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에서 우리 독자 기술로 경쟁할 국가대표 AI 기업 5팀(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LG AI 연구원) 선발
  • 정부는 AI 5팀에 2027년까지 5300억원 가량 지원에 나설 예정, 지원규모는 GPU(그래픽 처리 장치) 4500억원, AI 학습 관련 데이터 확보 628억원, 인재 채용 지원 최대 250억원 수준으로 오픈AI를 포함한 프런티어급 AI의 95%까지 기술 수준을 끌어올리겠다는 목표 밝혀

🍎애플도 폴더블폰 내놓는다

  • 내년 하반기 첫 폴더블폰 출시를 앞둔 애플이 품질 검증된 국내 부품사를 중심으로 공급망 구축할 계획이라는 소식에 관련 업계 떠들썩
  • 삼성전자는 올해 하반기 화면 2번 접는 트라이폴드 출시를 앞두고 있으며, 삼성전자, 애플의 폴더블폰 출시 예정 소식에 관련 부품사들의 주가 올라

🎬30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은 박찬욱 신작

  • 올해로 30회를 맞은 부산국제영화제(BIFF) 개막작으로 박찬욱 감독의 신작 ‘어쩔수가없다’ 선정
  • 박찬욱 감독의 신작은 ‘헤어질 결심’ 이후 3년 만에 선보이는 신작으로, 미국 소설가 도널드 웨스트레이크의 소설 ‘액스’를 각색한 블랙코미디 작품
  • 부산국제영화제는 내달 17일 개막하며, 개막작은 17일부터 26일까지 영화제 기간 중 상영될 예정
첨부 이미지

⚡️’s 추천 #254

❓컴백 무대 = 열린음악회

유튜브 ‘KBS 레전드 케이팝’

가수 이찬혁이 KBS 열린음악회를 통해 컴백 무대를 가졌습니다. 아티스트 이찬혁의 천재적 행보. 노래 제목도 어쩜 멸종위기사랑… 💗


클릭하여 협업 문의하기

클릭하여 협업 문의하기

문화편의점은 점주님들의 이야기가 듣고 싶어요.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더 다양한 트렌드를 맛보고 싶다면? 👉 https://maily.so/munhwa.cv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