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7일 화요일
#239 🌽콘.스.프 영양성분
이주의 기획 상품 #239
온 세상이 지브리🎨
지브리 열풍 덕에 챗GPT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가 연일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6일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이달 3일 기준 챗GPT 국내 DAU는 역대 최대인 317만 1415명을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는데요, 챗GPT DAU는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2일까지 연일 약 24~28%씩 오르고 있습니다.
유료 가입자수도 급증 ..💸
오픈AI는 지난 1분기에 12억4500만 달러의 수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고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디 인포메이션 등이 지난 4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이는 앱 결제를 통한 신규 유료 구독자 수 증가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분석됩니다. GPT-4o 기반 이미지 생성 기능은 멤버십별로 일일 이용 허용 횟수에 차등을 뒀는데요, 무료 이용자는 하루에 최대 3개만 생성할 수 있지만 플러스 이상 유료 멤버십 구독자에게는 제한이 없습니다.
오픈AI는 이번 이미지 생성 기능 외에도 유·무료 이용자에 제공하는 서비스에 변별력을 둬 무료 이용자들이 유료 구독하도록 유도하고 있죠.
“지브리 스타일로 그려줘”
한편에선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 지브리 스튜디오 저작권을 침해했다는 논란이 불고 있습니다. 일본 대표 애니메이션 ‘원피스’를 만든 이시타니 메구미(石谷恵)는 최근 개인 SNS를 통해 “절망스럽다. 지브리 가치를 떨어뜨리는 행위”라 꼬집으며 “지브리가 허락했을 리가 없지 않는가. 이런 허가 없는 이미지 사용이 왜 허용되는 것인가. 법적 조치를 취하고 싶다” 거세게 비난했습니다.
미야자키 하야오는 과거 한 인터뷰에서 “AI의 애니메이션은 혐오스럽다. 생명 자체에 대한 모욕이라 느끼며, 결코 내 작업에 쓰고 싶지 않다” 강한 거부감을 드러낸 바 있죠.
하지만 쉽사리 저작권 침해라 결론짓딘 쉽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은 그 대상 자체를 구체적인 표현 형식으로 규정하기 때문에, 지브리의 ‘화풍’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초상권은? GPU는?😫
저작권 뿐만 아니라 초상권도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이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사진을 넣는 것이 오픈AI의 데이터 학습에 활용될 소지가 있기 때문이죠.
국내 AI 업계 관계자는 “이미지를 픽셀 단위로 쪼개 AI 학습 데이터로 쓸 것”이라며 “‘지브리 열풍’을 계기로 오픈AI는 텍스트보다 구하기 힘든 이미지 데이터를 엄청나게 축적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오픈AI도 이미지 변환을 위해 입력된 사진 데이터가 AI 학습에 사용될 가능성이 챗GPT 버전에 따라 있을 수도 있다고 밝혔죠.
또 다른 문제로는 서버의 과부하가 있습니다. 27일(현지시간)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X(엑스)에 “사람들이 챗GPT로 이미지를 만들고 좋아하는 걸 보는 건 정말 재미있다. 그러나 우리 GPU가 녹아내리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무료 사용자들에게 하루 3개의 생성 제한을 둔 것도 서버의 부하 문제 때문이였습니다.
오늘의 기획 상품 | 세 줄 요약! 😉
✔️지브리 트렌드 덕에 챗GPT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가 연일 역대 최대 기록 달성, 유료 가입자 수도 증가
✔️저작권 침해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 일본 애니메이션 ‘원피스’를 만든 이시타니 메구미의 비판도
✔️초상권과 더불어 GPU 과부하 문제도.. 챗GPT의 지브리 열풍에 따른 문제점
(젤리’s view)
구독자님은 챗GPT를 활용한 지브리 화풍의 그림을 그려보셨나요? 위에서 살펴본 여러 문제점 중, 저는 ‘초상권’ 문제 때문에 아직 시도하지 못했는데요😢 지브리 열풍이 생성형 AI의 부작용들을 잘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이주의 신상품 #239
네이버쇼핑🛍| 지니티비📺 | 게임사의전략🎮 | 토스뱅크🏦 | 메타AI🤖
문화 콘텐츠 관련 새로운 이슈들을 짧게 요약, 정리해봤어요. 기사 전문은 제목을 클릭하세요.
네이버 쇼핑, 지난달 모바일 설치 1위
- 6일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쇼핑 부문에서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앱은 284만1천603건의 신규 설치를 기록해 가장 많이 새로 내려받은 앱으로 집계됨
- 기존에는 중국 앱인 테무가 한국 진출 직후인 2023년 9월 이후 줄곧 신규 설치 1위를 고수
KT, 지니 TV 오리지널 독점 풀고 OTT에 제공
- KT가 자사 IPTV 플랫폼인 지니 TV에서 독점 공개하던 ‘지니 TV 오리지널’ 콘텐츠를 다양한 OTT 플랫폼으로 확대 제공 예정
- 이번 개편으로 유통 전략이 OTT 플랫폼 동시 공개와 KT 브랜드 강화, 글로벌 콘텐츠 확장 등의 방향으로 추진
“고도화 vs 다각화”…중견 게임사들, 서로 다른 반등 전략
- 지난해 실적 부진에서 벗어난 중견 게임사들이 개별 IP(지식재산권)를 고도화하거나, 퍼블리싱 판권을 확보하는 등 각기 다른 전략으로 새 도약에 나서는 모습
- 업계에서는 산업의 허리를 차지하고 있는 이들의 차기작들의 성과가 개별 기업을 넘어 산업의 성장세도 좌우할 것이라고 전망
‘일당백’ 토스뱅크
- 지난해 토스뱅크의 1인당 생산성이 10억원에 육박
-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은행권에서 직원 1명당 생산성이 가장 높은 은행은 토스뱅크(9억9000만원)로 나타나
메타, 최신 AI 모델 ‘라마4 공개’
- 5일(현지시간) 메타는 자사 공식 블로그를 통해 라마4 모델 ‘스카우트'(Scout)와 ‘매버릭'(Maverick)을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로 공개
- 스카우트와 매버릭은 향후 왓츠앱, 페이스북 메신저, 인스타그램 등 AI 어시스턴트에도 순차 적용될 예정

젤리’s 추천 #239
웃음과 이야기의 축복이 끝이 없네🙋♀️
본격! 국민 MC 유재석이 말을 잃는 순간이 있다? 이번 핑계고 편에서는 자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끝없는 토크와 웃음의 축복으로 빠져보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