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269 🌽콘.스.프 영양성분

첨부 이미지

이주의 기획 상품 #269

도파민 싹-도는 요즘 광고 트렌드

"활어회~ 물회 원샷~ 우럭 두 개 더~"

가수 민경훈이 등장하는 아래 광고 영상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유튜브 'G마켓'

 

더 짧게, 더 임펙트 있게!

“보자마자 터졌다”, “아이디어가 기발하다”와 같은 긍정적인 댓글 반응이 이어졌던 위 광고는 G마켓이 선보였던 광고 시리즈 중 하나입니다. 민경훈 뿐만 아니라 김종서, 환희, 설운도 등 전 세대를 아우르는 유명가수들이 자신의 히트곡을 직접 패러디하는 방식의 광고 형태이죠.

유튜브 'G마켓'

설운도는 자신의 대표곡 ‘사랑의 트위스트’ 후렴을 ‘샹하이’ 대신 ‘상의 하의’로 바꿔 부르며 재킷과 청바지를 흔드는 장면으로 웃음을 끌어냈고, 다른 가수들도 각자의 명곡을 ‘태블릿’, ‘토마호크’ 등 쇼핑 키워드로 재해석한 패러디 버전을 직접 열창해 화제가 됐습니다.

소비자들이 익히 아는 멜로디에 예상치 못한 광고 카피가 맞물리며 30초 가량의 광고임에도 제품에 대한 강한 인상을 남겼죠. 며칠 전 공개된 서브웨이의 광고도 비슷한 형식을 차용했는데요.

I Can’t Stop LOB~ LOB~ LOB~ (출처=유튜브 '써브웨이')

가수 에픽하이가 ‘Love Love Love’의 후렴 발음을 살려 ‘랍스터(Lobster)’ 메뉴를 위트있게 강조하죠. 덕분에 단 6초 만에 제품명을 자연스럽게 각인 시킨다는 평을 받고 있어요.

 

생성형 AI 광고

생성형 AI가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기업들도 광고 영상에 AI를 적극 활용하고 있어요.

최근 삼성전자는 AI를 활용한 광고 영상을 연이어 공개했습니다.

유튜브 'Samsung'

자체 AI인 Galaxy AI에 대한 메시지를 자연스럽게 녹이며 긍정적인 댓글 반응을 이끌어냈죠.

우리카드가 공개한 AI 광고는 한 달 만에 1,000만 조회수를 달성하기도 했는데요. 

유튜브 '우리카드'

제작 단계부터 외부 대행사 없이 100% 내부 리소스 만을 활용한 AI 영상으로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AI 활용이 브랜드 정체성에 반하는 경우, 반발을 사기도 합니다.

유튜브 'Coca-Cola'

코카콜라의 경우 매년 공개하는 연말 컨셉 광고를 100% AI 기반으로 제작 했는데요.

(출처=유튜브 댓글 캡쳐)
(출처=유튜브 댓글 캡쳐)

광고 영상의 퀄리티와 무관하게, 일각에서는 "기술은 발전했지만 감동은 사라졌다"고 평가하며 코카콜라의 상징적 크리스마스 캠페인이 '감성보다 속도에 치우쳤다'는 비판이 제기 되기도 했죠.

 

트렌디하게 반응하는 광고

이렇듯 뜨거운 감자인 생성형 AI 기술을 역이용하는 트렌디한 광고도 있습니다.

카카오페이의 광고는 AI를 활용해 제작된 듯한 효과를 사용했으나, 알고 보면 실제 배우들이 직접 연기한 영상이죠.

유튜브 '카카오페이 kakaopay'
유튜브 '카카오페이 kakaopay'

AI가 전형적으로 사용할 법한 전환 효과, 분위기 등을 의도적으로 연출 했지만, 알고 보면 실제 영상인 반전 구상으로 인기를 끌었죠.

AI를 발빠르게 활용한 광고 사례도 있습니다.

유튜브 'HITEJINRO'

테라의 AI 광고 영상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던 젠슨황·이재용·정의선의 '깐부치킨 회동'을 재빠르게 활용해 제작 되었고, 공개 일주일 만에 약 450만 조회수를 달성했어요.

 


오늘의 기획 상품 | 세 줄 요약! 😉

✔️ '익숙한 노래 + 셀프 패러디’ 조합으로 도파민을 순간적으로 터뜨리는 광고 콘텐츠 유행

✔️ 생성형 AI 광고 유행에 대한 편승도 중요하지만, 브랜드 감성 및 정체성에 대한 고려도 필요

✔️ AI를 발빠르게 활용하거나, '실제로는 AI가 아닌' 반전 포맷도 트렌디한 광고 전략으로 떠오르는 중

 

(🥟's view) 

최근 광고 영상 트렌드를 간단히 살펴 보았는데요. 모두 1분 이내의 숏폼 형태였으며, 생각보다는 뻔한 방식(패러디, 언어유희, AI 등)으로 소비자들에게 다가간다는 점이 인상적이었어요. 앞으로의 광고 트렌드도 궁금해지네요!

첨부 이미지

이주의 신상품 #269

🍿J콘텐츠 | 👯버추얼 아이돌 | 📱현실 반영 웹툰 | 📩카카오톡 | ❄️경량패딩

문화 콘텐츠 관련 새로운 이슈들을 짧게 요약, 정리해봤어요. 기사 전문은 제목을 클릭하세요.

 

🍿MZ세대는 어떻게 ‘J콘텐츠’에 빠져들었나?

  • 연이은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극장판 흥행은 J콘텐츠가 MZ세대의 주류 취향으로 확장됐 음을 시사
  • J팝은 K팝과 다른 다양성·개성 중심의 매력으로 젊은 세대의 갈증을 해소하며 빠르게 팬덤을 넓히는 중
  • K콘텐츠가 앞으로 “다양성과 세분화된 취향 반영”이라는 과제를 안고 가야함을 의미

 

👯눈 마주치고 인사하는 버추얼 아이돌, 플레이브

  • 데뷔 2년차 버추얼 아이돌 ‘플레이브’가 고척돔을 성공적으로 채우며 K팝 씬에 이례적인 돌풍을 일으키는 중
  • 팬덤 결집력, 진정성 있는 소통, 화려한 퍼포먼스·연출이 결합돼 ‘더 인간적인’ 무대로 높은 몰입감을 선사
  • 버추얼 아이돌 시장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며, 새로운 유형의 아이돌 생태계가 자리 잡고 있음을 시사

 

📱"김 부장, 내 얘기일지도"…현실 반영 웹툰, 재조명 받는 이유

  • ‘김 부장 이야기’, ‘별 거 아니겠지’처럼 현실을 반영한 웹툰·드라마가 세대 전반에서 큰 인기를 얻는 중
  • 모두 평범한 인물이 갑작스런 위기 맞닥뜨리는 과정을 진솔하게 담아내 독자·시청자의 강한 이입을 이끌어냄
  • 특히 드라마화·영상화는 원작 웹툰의 재소비를 폭발적으로 늘리며 콘텐츠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

 

📩카톡, 결국 돌아온다… ‘문제의 친구탭’ 내달 전격 복원

  • 카카오가 지난 9월 도입한 ‘친구탭’을 롤백하고, 다음 달부터 기존 UI를 선택할 수 있도록 옵션 제공
  • 개편 직후 이용자 불만, 사용성 논란 증가 등 여론 악화와 이용자 이탈 조짐이 이어지며 빠른 수정이 불가피
  • 신규 ‘친구탭’ 완전 철회 대신 사용자 선택권을 주는 방식으로 조정하며, 추가 기능 개선도 준비 중

 

❄️바뀐 아우터 트렌드… 경량패딩은 왜 대세가 됐나?

  • 올해 경량패딩은 기존보다 부피감이 커지고 색·디자인이 다양화되며 ‘패션 아이템’으로 재정의되는 중
  • 이상고온·고프코어 트렌드가 맞물리며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경량패딩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
  • 노스페이스 등 주요 브랜드는 초도 물량 완판·리셀가 상승 등 큰 흥행을 보이며 경량패딩 공급 대폭 확대 중

 

첨부 이미지

🥟's 추천 #269

🍊자몽살구클럽

유튜브 '한로로 HANRORO'

가수 '한로로'가 지난 주말, 전석 매진 속 역대 최대 규모의 단독 콘서트를 성황리에 마쳤는데요.

한로로의 가장 최근 앨범이자, 가을의 끝자락과 어울리는 앨범 <자몽살구클럽>을 소개드립니다!

 


클릭하여 협업 문의하기
클릭하여 협업 문의하기